현재 귀농·귀촌인 중 도시로 재이주를 고려하고 있는 비율은 8.6%이며, 이같은 의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귀농·귀촌 동기와 주민과의 갈등 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경연 마상진 연구위원    ‘역귀농·귀촌 의향 영향 요인’ 연구
귀농·귀촌 동기, 주민과의 갈등 여부가 가장 큰 영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 마상진 연구위원은 지난 12일 고려대학교 백주년기념관에서 열린 한국농촌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발표한 ‘역귀농·귀촌 의향 영향 요인’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분석 자료로는 농경연이 귀농·귀촌인의 정착실태 분석을 위해 2014년 총 1019명의 귀농·귀촌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가 활용됐다.

설문결과 분석에 따르면 먼저 귀농·귀촌 동기가 무엇이었는지에 따라 역귀농·귀촌 의향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생활비(50%)나 실업(58.2%), 건강상 이유(65.6%) 등의 이유로 이주한 사람들보다는 생태공동체 추구(90.1%)나 도시 생활에 대한 회의(77.9%) 등 가치 추구형 귀농·귀촌인들의 역귀농·귀촌 의향이 적었다.

특히 주민과의 왕래가 잦을수록, 갈등 경험이 없을수록 역 귀농·귀촌 의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귀농·귀촌인의 성공적 정착에 주민과의 관계가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됐다. 반면 가족 요인이나 경제적 요인, 사전 준비 요인, 연고지 요인 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 연구위원은 “대다수 귀농·귀촌인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경제적 이유가 역귀농의 결정적 이유가 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경제적 문제의 경우 일정기간 인내하거나 극복하지만, 주민과의 관계가 틀어지면 더 이상 그 지역에서 살기가 힘들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채상헌 연암대학교 교수는 “실제 현장에서 보면 왜 시골에 가서 살아야하는지 ‘이유찾기’가 된 귀농·귀촌인들의 경우 어려움이 있어도 잘 극복해 나간다”며 “예비단계에서 이유찾기에 대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고, 특히, 주민들과의 관계 관리에 실패했을 때 역귀농이 나타나는 만큼 귀농·귀촌인의 원활한 지역사회 편입을 위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김선아 기자 kimsa@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