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가 농촌현장포럼을 추진하면서 퍼실리테이터 자격증 소지자 참여를 의무화한 것을 두고, 현장에서 타당성 논란이 계속 일고 있다.

농촌현장포럼은 상향식 주민협의 프로그램으로, 마을 주민이 주도해 마을의 유·무형 자원을 발굴하고 마을발전계획을 직접 설계해보자는 취지로 2013년 본격 도입됐다. 도별 ‘농촌활성화지원센터’에서 운영을 맡고 있으며, 포럼 진행시 퍼실리테이터 자격증 소지자가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 올해 현장포럼은 10개 시·도 418개 마을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비공인 민간자격증인 데다 농촌 현장 이해 의문 '타당성 논란'
“정부가 나서 자격증 취득 독려…관련 기업 특혜 아니냐” 도마


그러나 현장에서는 퍼실리테이터 자격증이 비공인 민간자격증인 데다, 당시 자격증 보유자도 극소수였는데 농식품부가 굳이 정책사업 참여 조건으로 자격증을 의무화한 이유가 무엇이냐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실제 농식품부가 처음 현장포럼을 설계한 2011년의 경우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등록된 자격증 인증기관은 3곳에 불과했다.

이에 농식품부는 자격증 보유자 확보를 위해 2011년부터 한국농어촌공사를 통해 ‘농어촌 퍼실리테이터 양성과정’ 교육을 시작했다. 지난해까지 100명의 ‘농어촌 퍼실리테이터’를 배출했고, 2014년까지 연 1회 진행되던 교육은 2015년 2차, 올해는 4차까지 늘어났다.

현장에서 마을만들기 사업에 오랫동안 관여해 온 한 전문가는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겠다는 취지엔 공감하지만 퍼실리테이터는 토론과 소통전문가이지 마을개발사업에 대한 전문가는 아니지 않느냐”며 “기존의 농촌개발 전문가나 현장 활동가들에 대한 교육을 통해 추진해도 무방한데 굳이 준비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격증 소지자로 제한한 이유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한 지역개발 전문가는 “일반 퍼실리테이터 자격증을 취득해 유지하려면 교육과정 이수비, 인증심사비, 연회비 등 관련단체에 지불해야 하는 비용 소요가 만만치 않다”며 “정부가 나서 자격증 취득을 독려하는 것은 자격증을 주관하는 관련 기업에 너무 큰 혜택 아니냐”고 반문했다.

실제 확인결과 한국퍼실리테이터협회의 경우 소속 회원사별로 30만원~95만원 정도의 기본교육과정 이수비용과 인증심사비용(20만원), 협회 가입비(15만원), 연회비(5만원) 등이 소요되는 걸로 알려졌다. 협회 홈페이지에는 연회비를 납부하지 않으면 자격증을 일시 중단한다는 조항이 명시돼 있기도 하다.

한국농어촌공사 자격관리센터(센터장 김연두)가 주관하는 교육의 경우 교육생의 자부담 비용은 44만원. 나머지는 정부에서 부담한다. 교육 횟수가 늘어나면서 관련 예산은 3000만원(2013)에서 9590만원(2016)으로 확대됐다.

또 다른 지역 전문가는 “퍼실리테이션은 회의기법일 뿐 마을에 필요한 것과 주민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진단해 실질적인 도움을 주려면 농촌실정과 마을사업에 대한 이해가 선행돼야 하며 무엇보다 지역주민들과 밀착해야 한다”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현장포럼 운영방식은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촌현장포럼은 하향식 농촌마을개발사업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된 것으로 주민들의 의견을 끌어내는데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아무 자격도 없는 사람에게 맡길 수 없으며 향후 국가공인 자격증으로 키워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선아 기자 kimsa@agrinet.co.kr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란?
☞사전적 의미는 ‘용이하게 하는 사람’ 또는 ‘촉진자’를 뜻하며, 다양한 소통기법과 절차에 따라 회의 참석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전문가를 말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