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고기자조금 사업예산 배분을 놓고 농림축산식품부와 닭고기자조금관리위원회가 이견을 보이고 있다. 농식품부는 닭고기 공급과잉 해소를 위한 수급안정 사업 예산에 무게를 두고 있는 반면 자조금관리위원회는 소비홍보에 주력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농식품부 "소비·홍보보다 수급 안정이 우선"
자조금관리위 "단기적인 효과 뿐 비효율적"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 올해 닭고기자조금관리위원회 사업계획 조정·승인내역을 항목별로 조정하며 소비홍보 예산을 26억7200만원에서 19억7200만원으로 삭감했다. 특히 올해 신설된 TV직접광고의 경우 13억원에서 5억원으로 8억원이 삭감되고, 기존의 PPL(간접광고)은 9억원에서 10억원으로 1억원이 증가됐다. 이와는 반대로 육계 수급안정 사업 예산은 기존 7억2300만원에서 16억4300만원으로 8억2000만원이 증가했다. 즉 소비홍보에 책정된 예산이 수급안정 사업으로 이동한 셈이다.

이에 닭고기자조금관리위원회는 지난 4월 28일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수급안정 사업의 비효율성을 설명했다. 닭고기자조금관리위원회 측은 지난해 두 차례 총 13억8000만원을 들여 병아리 도태와 냉동비축 등을 실시했지만, 10~13일 정도 가격 방어를 하는 효과밖에 내지 못했고 이를 또 반복하는 것은 자조금을 헛되이 쓰게 되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오세진 닭고기자조금관리위원회 대의원회 의장은 “자조금이 수급안정 사업에 쓰이는 것 자체를 반대하지는 않지만, 지난해와 같이 단기적인 효과를 위한 수급안정 사업에 자조금을 투입하는 것은 반대한다”라며 “지금의 육계 공급과잉은 육계계열업체들이 시장 점유율을 선점하기 위한 물량싸움에서 비롯된 것으로 올해도 수급안정 사업에 자조금을 투입한다면, 이것을 믿고 생산량을 또 늘릴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해결하도록 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닭고기자조금관리위원회의 이 같은 주장에 대해 농식품부는 자조금을 소비·홍보에 쓰는 것보다 수급조절에 사용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현재 국내 육계 공급 과잉 상황에서 7월에 태국과 미국산 닭고기까지 수입되면 생산비 이하의 육계 가격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직접광고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이 들고, 현재는 소비홍보보다 수급조절이 우선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에 예산을 조정했다”라며 “향후 자조금 거출율이 증가하면 직접광고에 자조금 예산을 늘리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안형준 기자 ahnh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