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다이시스 김기환 대표

▲ 농촌진흥청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에서 열린 정밀농업기계 전시회에 참가한 ㈜다이시스의 장윤제 부장과 김기환 대표, 김주영 이사.

‘스마트팜’의 원조는? 어느 순간부터 농축산업 생산에 ICT(정보통신기술)를 접목해 경쟁력을 높이는 ‘스마트팜(Smart Farm)’이 핵심농정 분야로 강조되고 있다. ‘스마트팜’은 ICT를 온실이나 축사에 접목해 스마트폰이나 PC를 통해 원격·자동으로 제어하면서 작물이나 가축의 생육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이런 방식을 ‘스마트팜’이라고 명명한 이유는 뭘까. 이런 궁금증이 김기환 ㈜다이시스 대표를 만나면서 풀렸다. ㈜다이시스에서 생산하는 온실과 축사 등을 스마트폰으로 원격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바로 ‘스마트팜’이기 때문이다. ㈜다이시스는 1세대 제품인 ‘스마트팜’에서 출발해 현재는 3세대인 ‘스마트팜3.0’(일명 코코넛)을 개발, 판매하고 있다.

CCTV 카메라로 모니터링 후
휴대폰으로 원격 관리
청와대 방문해 원리 설명도
생산성 향상·품질 제고
'무선'이라 화재 등 사고 위험↓


S전자 휴대폰을 생산하던 김기환 대표가 농축산기자재시장에 뛰어든 것은 농민요구가 컸다. 그는 “지인의 부모님이 참외농사를 짓는데 보온덮개 개폐를 비롯해 하루에도 몇 번씩 집과 하우스를 오가는 것이 안쓰럽다며, 집에서 간단하게 이런 것을 컨트롤할 수 있는 방법이 없겠느냐고 물어본 것이 제품개발의 계기”라고 전한다. 이후 그는 2010년 ㈜다이시스를 창업하고 지금까지 300여 곳의 온실, 축사 등에 ‘스마트팜’을 설치했다. 스마트폰으로 온실이나 축사를 원격으로 관리하는 ‘똑똑하고 영리한 농장’이란 뜻에서 제품명을 ‘스마트팜’이라고 정했다.

그런데 어느 날 청와대에서 연락이 왔다. 그는 “청와대를 방문해 ‘스마트팜’의 원리에 대해 설명한 적이 있다”며 “이후 정부가 2014년경부터 농업생산에 ICT를 접목하는 스마트팜을 본격적으로 추진을 했다”고 기억을 회상한다. 한마디로 ㈜다이이스가 ‘스마트팜’의 원조인 것이다.

‘스마트팜’ 작동원리는 간단하다. CCTV의 카메라를 통해 온실이나 축사, 과수원 등의 상황을 영상으로 모니터링하고, 각종 센서를 통해 작물이나 가축의 환경을 확인해 휴대폰을 통해 원격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자동개폐 콘트롤 박스, 보일러나 냉·난방기, 환풍기나 유동팬 등의 기자재를 조종하는 것은 물론 강우나 눈, 온도와 습도, 일사량, 풍향풍속 등을 측정해 온실이나 축사를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정전이나 복전, 기기이상 등의 알림서비스도 가능하다. 특히 ‘스마트팜’을 통해 작물의 생육이나 가축의 사양과 관련된 정보를 축적할 수 있다. 이런 정보를 활용해 작물이나 가축을 정밀하게 관리할 경우 노동력이나 에너지, 양분 등을 관행에 비해 덜 투입하고도 생산성 향상과 품질제고가 가능하다. 무엇보다 이 제품의 장점은 무선이란 것이다. 간혹 전기합선으로 온실이나 축사에 화재가 나기도 하고 농기계작업 등으로 전선이 끊어지는 사고도 발생하는데, ‘스마트팜’은 이런 우려가 없다.

설치단가는 센서나 CCTV설치대수 등 원격관리시스템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기본형이 500만원 남짓인 반면 온실, 축사, 저온저장고 등 이용범위가 넓다. 또 국고 및 지방비 보조 50%, 자부담 20%, 저리융자 30%의 조건으로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 그런데, 판촉과정에 곤혹스러운 상황을 겪기도 한다. 관행이라며 뒷거래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김기환 대표는 “간혹 자부담을 알아서 책임져달라는 곳이 있는데, 이런 곳에는 판매하지 않는다”며 “자부담 100%로 구입한 농민들이 오히려 제품의 사용만족도가 더 높다”고 전한다. 그러면서 그는 “IT제품은 센서를 비롯해 자재를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제조단가의 차이가 있다”며 “제조업체가 손해를 보면서 장사를 하지는 않기 때문에 뒷거래를 요구할 경우 성능이 낮은 제품이 설치될 가능성이 높다”고 농민들의 주의를 당부하면서 말을 맺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