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온난화 대비 지자체 육성사업 추진 등 재배면적·농가수 급증

안정적 판로 확보·소비 플랫폼 구축 등 모색해야

최근 들어 열대과일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 속에 열대과일 생산농가에 대한 체계적인 재배기술 지도 등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또 열대과일 재배에도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열대과일 수급 동향 및 시사점’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에 따르면 국내 열대과일은 1980년대 제주도를 중심으로 바나나와 파인애플 재배면적이 급증했으나 1990년대 수입 자유화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재배농가가 폐원했다. 그러다 최근 국내 소비자들의 수입과일 수요 증가와 기후온난화에 대비한 농가의 새로운 소득 작목 발굴 및 일부 지자체의 특화 고소득 작목 육성사업 추진 등으로 열대과일 재배면적이 크게 확대됐다. 2015년 열대과일 재배 면적과 농가 수는 전년 대비 각각 83.7%, 51.7% 증가했다.

그러나 열대과일 재배를 위한 신규투자 시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초기 투자비용과 난방비 등의 유지·관리비 부담이 크고 재배기술 연구 및 보급 시스템이 취약하며, 생산물량이 적어 거래시장이 부재하다는 점 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 또한 과거 수입자유화에 따른 바나나와 파인애플 수입이 급증해 국내 재배농가들이 대부분 폐원한 사례도 교훈 삼아야 한다.

이와 함께 열대과일 생산농가에 대한 체계적인 재배 기술지도 및 안정적인 판로 확보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농촌진흥청의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와 지역 농업기술센터를 연계한 체계적인 기술지도 서비스가 뒷받침돼야 하고, 농가들이 자발적으로 작목반이나 연구회 등을 조직해 재배기술을 공동으로 연구·개발하고 관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창구도 마련돼야 한다. 또 객관적인 가격 정보가 부재한 상황에서 농가와 소비자를 연결해줄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해 원활한 거래도 유도해야 한다.

지성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열대과일 수요가 늘어나고 있지만 투자비용이 많이 들고, 아열대 기후로 변하고 있다고 하지만 아직 냉해 피해 등의 변수도 있어 섣불리 뛰어들어서는 안 된다”며 “다만 망고를 예로 들면 수입산의 경우 덜 익은 상태로 들어와 후숙이 되기에 국산보다 맛이 떨어지고 품질도 못 미치는 등 국산 열대과일이 수입산보다 훨씬 뛰어나 경쟁력은 있다”고 밝혔다. 이에 그는 “체계적인 재배기술 확립 및 판로 확보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며 “국내 열대과일 생산 및 수입 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관련 정보를 축적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도 있다”고 강조했다.

김경욱 기자 kimk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