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겨울, 경기 북부의 중견 육계계열업체인 ‘청정계’가 업체 간 힘겨루기에서 패하며 도산하는 일이 발생했다. 청정계 도산의 여파로 소속 사육 농가들은 사육수수료를 받지 못했고, 지역 경제는 경직됐다. 이 같은 사태가 다시 일어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지난달 말 열린 육계협회 대의원 총회에서는 사조화인코리아를 회원사에서 제명하는 안건이 상정됐다. 1년 이상 회비 납부를 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이날 육계계열업체 및 육계협회는 사조화인코리아가 협회 회비도 내지 않고, 2년간 수급조절도 참여하지 않았으며 닭고기자조금도 납부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육계계열업체들은 지난 2014년과 2015년 시장점유율 선점을 위한 물량 싸움의 결과 수급과잉 문제로 각 업체별로 입식량 10%를 자발적으로 줄이기로 약속한 바 있다.

하지만 이창주 사조화인코리아 대표는 이번 대의원회에 사조화인코리아의 제명 안건이 상정되고, 계열업체들이 비판을 하는 것은 전형적인 ‘신생업체 찍어 누르기’라는 주장을 펼치며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이창주 대표는 사조화인코리아가 전체 생산량의 70%를 치킨프렌차이즈업체에 공급하고 시장에 유통하는 건 30%밖에 되지 않아, 10%를 줄이는 건 형평성에 어긋나기 때문에 참여를 하지 않았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와 함께 자조금 미납의 경우도 지난 5년간 수급조절이란 명목으로 병아리를 도태하고 자조금으로 보조하는 등 자조금을 본래 목적대로 쓰지 않았기에 납부를 거부했다는 게 이창주 대표의 설명이다.  

업계 선두 업체의 대표가 공식석상에서 “육계업계에 규모가 큰 업체 2~3개를 제외하고 경쟁력 없는 업체는 사라져야 한다”라고 말하고 다는 것을 보면, 이창주 대표가 주장하는 ‘신생업체 찍어 누르기’가 업계에 어느 정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문제는 계열업체들의 힘겨루기가 그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청정계’에서 보았듯이 계열업체 간 힘겨루기의 피해자는 결국 소속 사육 농가가 될 것이다. 육계계열업체들은 소속 사육농가들이 안정적인 분위기에서 사육에 전념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육계협회는 계열업체와 사육 농가를 잘 아울러야 할 의무가 있다. 부디 계열업체들이 ‘청정계’의 비극을 교훈삼아 소모적인 힘겨루기보다 국내 육계산업이 건전하게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길 바란다.

안형준 ahnh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