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훈 (경실련 소비자정의센터 대표, 전 농림부장관)

-인명(人命)은 재처(在妻)라?-

예부터 이르기를 사람의 수명은 하늘에 매어 있어 어찌할 수 없다고 했다. 이른바 인명재천(人命在天)이다. 그러나 하늘이 정한 그 수명마저 올바로 관리 유지할 수 없는 상황에 많이 부딪치는 것이 예나 지금이나 보통사람들의 인생살이다. 절대빈곤, 가렴주구, 약육강식, 불평등 불균형한 자원 배분, 그리고 지나친 육식 편향과 각종 가공식품 및 유전자조작(GMO) 식품의 범람 때문이다. 구약성경에서는 이같은 장애가 없을 경우, 보통 사람의 평균수명이 대략 125세쯤 산다고 했다. 현대 의료과학자들은 평균 110세에서 120세까지 살 수 있다고 본다.

100세시대, 무병장수와 정침(正寢)

지난해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한국인들의 남녀 평균수명이 81세로 길어졌다. 그래서인지 요즘 “100세 인생”을 노래하는 김애란이라는 무명가수가 크게 뜨고 있다. 그러나 수명문제의 핵심은 얼마나 오래 살았는가가 아니다. 마지막 눈을 감을때까지 큰 병 없이 고질적인 지병에 시달리지 않고 오래 살았느냐가 핵심이다. 요컨대 크게 아프지 않고 지병 없이 살다가 천명이 다하여 자기 집 침대에서 조용히 눈을 감고 저 세상으로 가는 것을 다산(茶山)선생은 일컬어 정침(正寢)이라 했다. 그 자신 74년을 살다가 1836년 2월22일 경기도 양근 마재의 자택에서 그의 60회 회혼식 날 아침 시 한수를 남기고 자손들이 뛰노는 소리를 자장가 삼아 고요히 눈을 감았다.

다산 선생을 비롯 수많은 선인들의 사례는 ‘무병장수’란 대저 ①욕심과 번민으로부터 심신을 해방시키는 보다 높고 큰 이상(理想)의 추구, 이른바 ‘스트레스 줄이기’, ② 매일 규칙적인 손발과 몸의 움직임, 즉 규칙적인 산보와 운동, ③ 올바른 식생활 섭생법 등에 달려 있음을 암시한다.

올바로 먹기·규칙적인 운동 중요

2월28일자 Naural News지는 ‘사람의 건강(Men’s Health)’지 편집자 다그 돌레모와 마크 기루치의 공저 “인간의 나이 지우기 Age Erasers for Men”라는 신간을 소개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건강한 삶을 통해 세월(나이)을 물리쳐 인간수명을 최소한 15년 이상 연장하는 손쉽고 간편한 방법은 다름 아닌 건강한 식생활(health diet)과 일상적인 운동(daily exercise)이라고 한다. 적절한 휴식, 성 생활, 요가 그리고 나이 듦의 고통을 잊게 하는 적절한 사교와 오락, 그리고 문화활동도 일종의 일상적인 운동의 범주에 속한다고 한다.

미시시피대학교의 의료센터 해부학 교수 벤 잭슨 박사는 사람의 몸은 110년간을 거뜬히 버틸만하게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에 심신의 기능이 만 22세 무렵 절정에 도달하여 점차 노쇠하기 시작하더라도 여타 동물왕국의 다른 동물들처럼 성(性)적으로 그 성숙도가 최고조에 달한 해의 다섯 배에 이르는 기간을 건강하게 살 수 있다는 것이다(저서 “불로장생: 더 젊게 더 오래 살기”). 심지어 수많은 학자들에 의한 축적된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펜실베니아대학의 윌리엄 에번스 교수는 “당신이 어떻게 늙느냐는 당신이 평생 어떻게 살아 왔느냐를 매일 매일 축적한 결과”라고 단언한다. 따라서 무병장수 여부는 상단부분 당신의 관리(control) 영역 안에 있다는 것이다. 요약하여 최소 15년 이상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느냐의 열쇠는 당신의 삶 중에서 올바로 먹기(eating right)와 규칙적인 심신의 운동(exercising regularly)에 달려 있다는 결론이다.

그러나 이를 실천하는데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정치·경제·사회 제도와 대기업자본주의 환경이 절대적으로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다. 이 상황은 소비자 개인들의 각성과 정부의 국민건강에 대한 관심에 따라 좋아질 수도 더 나빠질 수도 있다. 현재의 상황은 후자 쪽이다.

식품의 안전을 책임지는 정부 부처 및 정치지도자들은 아는지 모르는지 그 책무를 방치하고 식품과 농약의 안전성을 이윤추구의 수단으로 삼는 국내외 대기업자본들은 우리나라 관련 학자/교수·교육·연구기관과 정계, 관계, 언론계 담당자들을 각종 명목-장학금, 연구비, 후원금, 광고비 등-의 천문학적인 자금력을 동원해 하수인 또는 앵무새로 만들어 놓고 있어 대명천지에 우리 일상의 식생활 위해(危害) 관련 정보들이 숨거나 왜곡되어 있다.

이제는 국민소비자 개개인의 각성과 정보력, 특히 집안의 삼시 세끼 조리를 담당하는 주부들, 그리고 가족과 자녀들의 건강을 도맡아 고생하는 엄마들에게 달려 있다. 특히 집안의 스트레스 정도를 관장하다시피 하는 부인(妻)네들의 역할은 아무리 낮춰 보려 해도 낮출 수 없을 만큼 지대하다. 그래서 예부터 인명이 ‘재천(在天)’이라 했지만, 현 대기업자본주의 시대에 와서는 인명이 ‘재처(在妻)’에 있다는 시중의 농담반 진담반 말들이 부쩍 설득력을 가지고 다가온다.

GMO 천국에 화학농법 1등국가

우리나라의 식량(곡물)자급율은 24% 미만으로 OECD 선진국중에서 최하위권, 즉 세계각국 중에서도 맨 꼴찌 국가군에 속한다. 그중에서 GMO 곡물수입은 매년 1000만톤을 넘은지 오래되었으며 식용 GMO 수입량(매년 200만톤 이상)은 세계 제1이다. GMO 식품의 원조생산국인 미국인의 연평균 수요량이 약 62㎏인데 비해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소비량은 근 42㎏를 육박한다. GMO 곡물(주로 옥수수와 콩)에 유래한 각종 외국산 가공식품과 첨가물(아스파탐, 프락토올리고당 등) 수입량만도 별도로 120여만톤에 달한다. 국내에서 제조 가공되는 약 7조7천억원에 달하는 가공식품의 원재료 7할 이상이 수입산이며 그 8할 이상이 GMO이다. 가히 우리나라는 GMO 천국이라 불릴만큼 온통 유전자조작식품 세상이다.

영국의 푸스타이 박사, 프랑스의 셀라리니 교수, 미국의 스미스 박사 등등 독립적인 연구결과는 GMO와 그 단짝인 ‘라운드 업’ 제초제의 글리포세이트 성분은 사료로서 장기간 동물급여 실험을 해 본 결과 현대판 식원병(食源病)들이 급증하고 있다. 예컨대 종양 및 암(유방암), 신장염, 간 질환, 위와 장 질병, 파킨슨 병, 자폐증, 알츠하이머 병, 2세들의 난임, 불임병 등 이루 그 폐해를 헤아릴 수 없이 드러나고 있다.

그래서 일찌기 EU 국가들에서는 GMO 재배를 금지하고 식용사용을 제한하며 그 생산과 가공, 소비를 억제하고 있다. 작년 러시아 정부는 GMO의 생산, 수입, 판매를 테러범에 준하는 형벌로 다스린다는 국회결의 대로 준수하고 있다. 잇따라 필리핀 대법원이 국민의 건강과 환경생태계 보호를 위해 그동안 오랫동안 미국의 영향 하에 길들어 있던 자국 정부와 학계의 GMO 대기업 편들기에 종지부를 찍었다. 수입을 중단시키고 국내에서의 GMO 작물실험마저 못하게 하였다. 남미의 베네수엘라 의회 역시 새로운 종자법을 제정공포하여 GMO 종자의 보급을 획책해 오던 몬산토사와 신젠타사의 국내 식품 종자 산업 침투를 원천적으로 봉쇄하였다. 지난 2월에는 우리나라와 이웃한 대만에서 린슈펀이 이끄는 민진당 정부가 학교급식에 있어서 GMO 작물이 포함된 어떤 식품도 어린 학생들에게 공급해서는 아니된다고 GMO 금지법을 제정공포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식품의약안전처가 앞장서서 형식적인 GMO 표시제마저 안해도 좋도록 GMO 식품대기업 손을 들어 주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산하의 농촌진흥청이 개발해 놓은 180여종 GMO 종자를 언제 상용화할까 만지작거리며 우선 제초제도 살충제도 GMO 작물도 이력과 세척 관리만 잘하면 ‘우수농산물관리’ 라고 명명하고 영어로는 GAP라고 읽으며 생산자 및 소비자들에게 GAP가 식품안전등급인양 거짓 선전하고 편들고 있다. 중국과 일본은 GAP를 ‘양호한 농업규범’이라고 번역한다.
앞서의 프랑스의 셀라리니 교수와 푸스타이 교수의 연구결과 GMO 식품의 경우에만 한정해 보면 여성의 수명이 남편과 식구들의 노력에 달려 있음을 본다. 부인의 인명이 ‘재부(在夫)’라고 할까. 오로지 GMO 식품-GMO 곡물, GMO 가공식품, GMO 첨가제-들이 여성들에게 가까이 가지 않도록 주위의 남자들은 각별히 신경 쓰고 보호할 일이다. 널리 홍보하고 교육할 일이다. 우선 여학교부터 말이다. 그러려면 정부(식약처와 농림당국)가 적극적으로 ‘GMO 완전표시제’를 도입하고 GMO 종자와 바늘-실의 관계인 글리포세이트 성분의 제초제만이라도 선진국들처럼 사용을 금지시켜야 하는데, 담당부서는 전혀 개선할 기척이 없다.

총선을 맞아 GMO 대기업 장학생이 아닌 사람을 뽑아 국회로 보내야겠는데 어느 농민·소비자단체가 앞장서 후보들에게 설문이라도 보내 GMO 완전표시를 위한 법제정 약속을 받았으면 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