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소나무재선충병 모니터링센터’가 문을 열었다. 소나무재선충병의 확산을 막고, 피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소나무재선충병 전담기구로서, 지난 2일 출범했다. 한국임업진흥원의 또 다른 본부성격이기도 한 모니터링센터는 앞으로 재선충병 피해고사목 조기발견, 방제인력의 교육훈련 등을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산림청과 방제사업을 유기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점, 전국단위 예찰을 위한 중간 거점기지가 필요하다는 점 등을 이유로 대전 서구 둔산동에 자리잡은 모니터링센터. 이곳의 주요사업은 무엇일까?

중간 거점단위로 대전에 둥지…예찰·진단시스템 구축
맞춤형 방제전략 제공·방제 교육 운영 전문인력 육성 


▲선제적 대응=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예찰·진단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체계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그동안 지자체에서 예찰을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조사인력이 부족한데다, 전문성도 다소 미흡했던 탓에 재선충병을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거나 발생현황 조사가 부정확해 피해 예측이 힘들었던 것. 우선 주요 핵심보전지역이나 선단지, 신규발생지 등 7개 권역의 총 47만ha를 집중적으로 예찰, 재선충병 피해고사목을 조기에 발견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ICT를 기반으로 한 무인항공기(드론), 전자예찰함(NFC) 등을 활용하는 등 예찰 시스템도 선진화한다. 페로몬 유인트랩을 이용한 매개충 발생 예찰도 동반한다.

소나무류 무단이동을 막기 위해 QR코드와 IT기기를 통한 소나무류 이동 이력관리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여기에 불법유통 단속활동을 지원함은 물론, 지역 NGO 및 민간단체에도 신고협조를 요청하기로 했다.

▲방제 품질 향상=맞춤형 완전방제 전략을 제공할 방침이다. 전국 80개 시·군·구 175개소를 대상으로 주기적 재발생률을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효율적인 방제예산을 수립하고, 방제 평가지표에 활용한다는 생각이다. 특히 방제사업장에서 방제누락목을 색출하는 가운데 방제 품질도 모니터링해 방제사업의 완성도도 높인다. 방제품질 평가 매뉴얼 기준을 마련해 피해유형별, 방제방법별로 방제품질을 비교하고, 개선방안 등을 실시간으로 해당 지자체와 산림청에 보낼 계획도 세웠다.

이와 함께 북부권, 중부권, 대구·경북권, 서남부권, 동남북권 등 6대 권역별로 지역 여건에 맞는 방제 방법과 함께 방제전략을 수립하는데도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국민들의 인식전환=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대국민 인식을 바꾼다는 방침도 내놨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국민의 재선충병에 대한 인식이 낮아 방제활동에 협조가 낮다”며 “정부, 지자체, 산주 등 이해관계자 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이 참여해야 완전박멸이 가능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그만큼 재선충병에 대한 국민들의 경각심이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매뉴얼, 간행물, 카드뉴스 등 홍보 컨텐츠를 제작해 ‘알기 쉽고 다가가기 쉬운 정보’를 국민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국민들의 시각과 관심을 높여 재선충병으로부터 소나무를 지키겠다는 의지이기도 하다.

▲방제인력 전문화=방제인력의 역량을 높이는데도 주력한다. 전국 예찰방제단, 산림설계감리시공자, 모니터링 요원, 미래신진인력 등 연간 2000명을 대상으로 재선충병 생리·생태, 예찰·방제방법, 방제관련 법령 및 규정, 방제기술 실습 등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권역별·분야별 전문인력으로 컨설팅단을 구성해 소나무재선충병, 일반 산림병해충, 생활권 병해충 등 산림병해충 관련 컨설팅도 추진한다.

김남균 한국임업진흥원장은 “모니터링센터는 소나무재선충병의 선제적·맞춤형 완전방제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예찰과 모니터링을 전문으로 서비스하는 기관으로 거듭날 것”이라며 “2018년까지 관리가능한 수준의 완전방제 실현을 위해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조영규 기자 choyk@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