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적 업태 구성·모바일쇼핑 연계 등 모색을

주요 소매업계인 대형마트와 백화점업계의 침체가 지속될 것이란 우려 속에 일본과 같은 장기적인 침체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선 다른 유통채널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등 본질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숙경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발표한 ‘한·일 유통산업 구조변화의 비교·분석과 시사점’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에 따르면 최근 국내에서 나타나고 있는 대형마트와 백화점의 침체는 대형 유통 업체에 대한 정부 규제의 영향도 일부 있겠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이들 업태가 성장의 한계에 도달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경우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의 쇠퇴가 계속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흐름은 1990년대 후반 대형 유통 업체에 대한 일본 정부의 규제가 완화된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 또 한편으론 인구학적, 문화적 변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의 소비 패턴이 변화하면서 근거리 쇼핑이나 온라인·모바일 쇼핑, 해외직구, 아울렛 등 대체 쇼핑채널이 성장함에 따라 백화점과 대형마트의 시장 자체가 영향을 받고 있다. 인구 대비 점포수 측면에서도 백화점과 대형마트 시장은 포화상태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인구 대비 소매업체 수가 1000명 당 8.1개(2012년)인 일본보다 13.0개(2013년)인 국내 유통환경에서 우리나라 백화점과 대형마트의 침체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는 것.

이에 대해 김숙경 연구위원은 “한국에서 대형마트와 백화점이라는 업태의 침체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들 업태의 성장 둔화가 일본과 같은 장기적인 쇠퇴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선 대형마트와 백화점의 전통적인 업태를 벗어나는 새롭고 혁신적인 업태 구성을 모색하거나 모바일쇼핑과 같은 다른 채널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등 보다 본질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한편으로는 경제 전체적으로 소비 지출 능력이 증가됨으로써 시장이 확대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는 것이 중요하며 더불어 인구학적, 기술적, 문화적 변화에 따른 소비트렌드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유통업계의 혁신적인 노력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 소매업의 전체 사업체 수는 1990년대 중반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이후 205년까지는 비교적 빠르게 감소했으나 2000년대 중반 이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구체적으로 보면 관련 통계가 처음 공표된 1968년 26만4100개에서 1996년 74만7536개까지 연평균 3.8% 증가하다, 1996년 이후 2005년까지는 연평균 2.4% 감소했다. 그러나 이후 다시 연평균 1.0% 증가해 2013년 현재 대한민국 소매업 전체 사업체 수는 65만1327개에 이르고 있다.

김경욱 기자 kimk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