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원섭 산림청장이 군산의 월명공원 내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현장을 찾아 문동신 군산시장에게재선충병 완전방제를 위한 지원을 당부했다.

소나무재선충병의 공포가 또다시 예고되고 있다. 1월로 접어들면서 재선충병이 조금씩 고개를 내밀고 있기 때문이다. 군산을 비롯해서 안동, 김해, 밀양, 울산 등 전국에서 재선충병 피해고사목이 늘고 있는 상황. 산림청은 최근 ‘2016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대책’을 제시하며 대응에 나섰지만, 그 효과를 가늠하기엔 아직 이르다. 더구나 이상기후로 인해 재선충병 방제기간도 짧아진 만큼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재선충병에 대한 국민들의 공감대가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군산·안동·김해 등 재선충병 피해 고사목 늘어나
감염 우려목·고사목 등 전량 제거 방제대책 추진
모니터링센터 조기 가동, 국민 공감대 형성 시급


▲재선충병, 확산되나=전북 군산의 월명공원.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작업이 한창이다. 군산시민의 휴식터였던 월명공원에서는 거의 1년째 소나무를 쉼없이 베어나가고 있다. 곳곳에 재선충병 피해고사목이 쌓여있고, 소나무로 우거졌던 숲에 구멍이 생겼다. 빈 공간들은 편백나무 등이 채워나가고 있다. 아직 키가 작은 편백나무들이어서 온전한 숲을 이루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듯하다.

매일 월명공원을 오간다는 남주형 씨는 “‘난리가 아니다’는 말이 딱 맞을 것”이라며 “하루가 다르게 소나무가 없어지고, 새 편백나무가 심어지면서 월명공원이 어수선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김기현 씨는 “월명공원의 소나무들이 우후죽순으로 잘려나가길래 무슨 이윤가 했더니 소나무재선충병에 걸린 나무들이라고 하더라”며 “좀 더 군산시민들에게 소나무재선충병을 알렸다면, 월명공원을 오가는 시민들이 빠르게 신고하지 않았을까”라며 아쉬움도 나타냈다. 

군산은 지난해 11월 군산시와 군산산림조합, ㈜유니드가 업무협약을 맺으면서 본격적으로 방제작업에 들어갔다. 피해고사목의 활용이 원활해지면서부터다. 그러나 방제작업이 늦은 감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처럼 군산을 비롯해 안동, 김해 등 전국적으로 소나무재선충병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방제대책 내놓다=최근 산림청은 ‘2016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대책’을 발표했다. 신원섭 산림청장은 지난 20일, “현재까지 86개 시·군·구에서 91만본의 피해고사목이 발생했으며, 발생추이를 감안하면 금년 4월까지 피해고사목은 약 110만본 내외로 감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주요 내용을 보면, 신규발생지 등에 대해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고사목 뿐 아니라 피해지역 주변의 감염우려목과 설해피해목, 자연고사목 등 매개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고사목까지 전량 제거하기로 했다. 또, 기존의 훈증 위주 방제에서 벗어나 피해유형에 따라 소구역 모두베기 등 벌채방식을 다양화하고, 파쇄방식도 확대할 예정이다. 지난해 37%였던 피해목 수집·파쇄율을 올해 50%로 상향조정한 것도 이 때문이다.

집단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일정구역에 대해서는 모두베기를 실시하는 가운데 소나무 외에 다른 나무로 수종갱신을 활성화할 생각이다. 제주도를 제외한 모든 지역의 피해고사목을 3월까지 앞당겨 조기방제하고, 대량방제시설을 운영해 피해고사목을 톱밥이나 연료용 등 가치가 높은 목재자원으로 활용하며, 방제역량이 부족한 지자체에 대해서는 공동방제사업으로 지원하거나 긴급한 경우 산림청에서 직접 방제하는 등의 방안도 방제대책에 담았다. 

▲현장성을 높이다=방제대책의 핵심은 ‘현장관리 강화’다. ‘소나무재선충병 모니터링센터’를 조기에 가동하고,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전담 TF팀’을 새로 조직하기로 한 것이다.

모니터링센터는 지난 1월 5일 ‘소나무재선충병 모니터링센터 추진단’ 개소식을 가졌다. 당초 계획했던 2월 1일보다 그  시기를 앞당겼다. 이곳에서는 재선충병 피해고사목의 조기발견, 방제사업장의 품질관리, 방제인력의 교육훈련 등을 전담한다. 신원섭 청장은 모니터링 센터에 대해 “그동안 지자체의 보고를 받아서 피해목 숫자를 집계했는데, 일부 지자체에서는 조금 부실한 모니터링 때문에 피해목 숫자가 정확하지 않은 것이 솔직히 있었다”며 “이런 것을 보완하기 위해서 중앙차원에서 센터를 만들어서 지자체가 못잡는 것까지 다 잡아내서 정확한 데이터를 가지고 방제작업을 하겠다는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산림청의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전담 TF팀’도 현장성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TF팀에서는 전국의 방제상황을 총괄 관리하도록 하고, 피해가 극심한 10개 지자체에 대해서는 산림청 직원이 직접 파견·배치하고, 나머지 70여개 지자체에 대해서는 62명을 배치해 주기적으로 방제사업장을 점검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공감대’가 관건=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2014년에 펴낸 농정포커스에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한 정책과제 중 하나로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대국민 홍보 강화’를 제시한 바 있다. 산림청 뿐 아니라 정부, 지자체, 산주 등 이해관계자는 물론, 모든 국민이 참여해야 완전 박멸이 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그만큼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선행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얘기다. 산림청이 ‘2016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대책’을 내놨지만, 국민들이 재선충병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한다면, 관련대책에 따른 효과도 반감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예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에 따르면, 반출금지구역에서 소나무류를 이동시킬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재선충병 피해고사목을 외부로 옮기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는 것.

또, 일부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고사목 신고를 주저하기도 한다. 재산권 행사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 때문이다. 이상기후로 인해서 재선충병 발병시기가 예전보다 빨라지고 있다는 점도 재선충병 방제에 국민들의 도움이 필요한 이유다.

석현덕 농경연 선임연구위원은 “모든 국민이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경각심을 갖도록 하는 정책홍보가 추진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조영규 기자 choyk@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