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가 개점휴업 중이다. 지난해 11월 18일 전체회의가 파행된 이래 두 달째다. 한·중 FTA 발효에도, 수확기 쌀값 하락에도, 농협중앙회장 선출에도, 농해수위 소속 여·야 의원들은 등을 돌린 채 여전히 묵묵부답이다. 상임위원장의 “산회를 선포합니다”가 아닌, 농해수위 입법조사관의 “오늘 회의는 안열립니다”가 마지막 말이었다. 그 후 여·야가 함께 한 전체회의는 없었다. 그대로 문을 걸어잠근 농해수위. 그래서 뒷맛이 영 개운치 않다.

문제는 농해수위가 지금 상태로 끝날 듯하다는 것. 농해수위 소속의 한 여당 의원에게 물어보니 “열긴 열어야 하는데, 이대로 흘러가지 않을까”라는 답이 돌아왔다. 농해수위원들도 농해수위가 개원하지 않을 것이라는데 인정하는 눈치다. 더 큰 문제는 ‘명분없는 휴업’이다. 이전에는 명분이라도 있었다. 세월호를 둘러싼 여·야의 발언. 그런데 지금은? 3개월이나 지났다. 관련 사안의 핵심이 아닌 ‘입’ 때문에 터진 일이었다. 때문에 아직도 회의를 열지 못한다는 건 납득이 되지 않는다. 어쩌면, 지금 이들에게 농해수위는 내가 ‘있는’ 상임위가 아니라 내가 ‘있었던’ 상임위로 생각하고 있지 않을까.

혹시, 누군가 물을지도 모른다. ‘총선 국면인데, 누가 상임위를 신경쓰겠냐’고. 현재, 전체 상임위의 분위기가 농해수위와 같다면, 인정하겠다. 그런데, 지난해 12월 임시국회와 올해 1월 임시국회에서 타 상임위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와 안전행정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등 대부분의 상임위가 현안을 보고받든, 인사청문회를 하든, 법률안을 심사하든 나름 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기간동안 총 16개 상임위 중 13개 상임위가 가동됐다. 단 한번도 관련 회의를 열지 않은 농해수위의 모습과 대조된다.

2월 임시국회가 있긴 하다. 그러나 4월 13일 20대 총선을 앞두고 있어 성과를 내긴 힘들다. 두 달 후 있을 자신의 운명을 두고, 곧 있으면 사라질 19대 상임위에 눈을 돌릴 이가 과연 얼마나 있을까. 국회의원은 ‘직업’이 아니다. 국회의원은 국민에 의해 선출된 국민의 대표다. 그렇다면, 임기가 끝날 때까지 국민을 위해야 한다. 농해수위원이라면, 자신의 지역구와 더불어, 농어민들을 위해 뛰어야 한다. 당연히 농해수위는 한·중 FTA 농어업대책도 보완하고, 쌀값 안정방안을 논해야 하며, 농협중앙회의 사업구조개편도 점검해야 한다. 할 게 산더미다. 그래도 자신의 안정적인 미래를 위해 손을 뻗을 것인가. 무엇이 먼저인지를 곰곰이 생각해달라.

조영규 기자 choyk@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