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논의없이 도입 1년 앞당겨 ‘중소업체 벼랑으로’

새해부터 중소 떡류 업체들의 입지와 운신의 폭이 좁아지고 있다. 국내 쌀 소비 확대와 정부 양곡 활용 차원에서 떡류 산업의 역할은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지만, 쌀 산업 진흥과는 별개로 식품 위생 당국이 특별 안전관리 차원에서 추진하는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조기 의무화 방침이 떡류 업체들의 상황을 더욱 힘겹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11월 ‘대장균 떡볶이’ 사태의 후속대책으로 떡볶이 떡, 순대, 계란 등을 3대 특별관리식품으로 정하고, 이들에 대해 2017년까지 HACCP 조기 의무화 방침을 추진키로 했다. 이에 따라 ‘매출액 1억원 이상 및 종업원 수 10명 이상’에 해당되는 떡볶이 떡 제조업체들의 HACCP 의무 도입 시기가 2018년 12월에서 2017년 12월로 1년이나 앞당겨졌다. 이 같은 중대 방침이 발표됐지만, 관련 업계와 구체적인 사전 논의조차 없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이 전언이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영세 규모의 업체들이 HACCP 시설 준비에 차질을 빚을 공산이 커졌다는 점이다. 특히 업계에선 이번 조치로 인해 부담이 늘었는데도 이를 고려한 정책 지원 방안이 미흡하다는 점을 들어 ‘사실상의 퇴출 의도’로 간주하는 분위기도 있다. 여기에 HACCP 적용을 둘러싼 관리 당국과 업체 간의 큰 시각차도 불필요한 오해와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2010년 들어 전문 프랜차이즈 성장에 힘입어 빠른 성장을 보였던 떡류 시장은 쌀 소비 감소 흐름에 맞물리며 성장세가 둔화되는 등 어려움이 누적되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떡류 시장은 전년 대비 쌀 소비가 10% 가량 줄어든 영향을 받아 생산 및 매출 측면에서 고전을 하고 있다.

한국쌀가공식품협회 관계자는 “대부분의 떡류 업체들이 영세한 곳이 많아 HACCP 조기 의무화 방침 등은 큰 부담으로 작용된다”며 “전반적인 경기 침체와 쌀 소비가 줄어드는 여건인 만큼 쌀 소비 활성화 차원에서 떡류 산업의 정책적 배려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성진 기자 kosj@agrinet.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