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부터 경북도의 ‘경북형 마을영농 육성사업’ 지원을 받아 벼 후작으로 미나리 공동 재배를 시작한 상주시 사벌면의 덕가리마을 주민들. 농한기 새로운 일자리도 생기고, 소득도 크게 오르고, 무엇보다 함께 일하는 시간이 늘면서 주민들간의 관계가 더 끈끈해졌다. ‘경쟁’이 아닌 ‘협동과 연대’가 가져다 준 선물이다.김흥진 기자

 

마을 사람들 힘 모으니 살맛난다고 전해라~

협동과 연대, 공존과 공생’의 새 농업모델 구축 움직임

 

요즘 세간의 화제를 모으며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케이블 드라마가 있다. <응답하라 1988>. 1988년, 서울 변두리 한 골목에 사는 이웃들의 소소한 이야기를 담은 이 드라마가 사랑을 받는 것은 지금은 사라져버린 ‘공동체 문화’에 대한 향수 때문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있는 집이건 없는 집이건 서로 나누고 보태며 의지가 되어주는 쌍문동 다섯 가족의 이야기가, 무한경쟁에서 낙오되지 않기 위해 기를 쓰며 사느라 우리가 잃어버린 공동체의 소중함을 깨닫게 해준다는 것이다.

사실 공동체 문화가 사라진 것은 농촌에서도 오래된 일이다. ‘두레’와 ‘품앗이’로 함께 농사를 짓던 시절의 풍경은 옛일이 됐다. 급속한 산업화와 개방화로 농업인구가 감소하고 농촌마을의 해체가 가속화된 탓이다.

1993년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 타결 이후 2004년 칠레를 시작으로 전 세계 53개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 농산물 시장개방을 완성한 정부가 지난 20여년간 내세운 농업정책의 목표는 ‘규모화·시설현대화를 통한 생산비 절감과 농업경쟁력 제고’였다.

그러나 규모화는 더뎠고, 시설현대화는 농가부채만 늘려놓았으며, 농산물값은 떨어지는데 생산비는 계속 뛰어 농업 채산성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호당 경지면적 1.5ha, 연간 농업소득 1030만원, 65세 이상 고령농가비율 37.3%(106만2000명)라는 수치가 이러한 농업현실을 고스란히 말해준다. 농업경쟁력 제고는커녕 농촌마을 공동체는 붕괴됐고, 남아있는 농민들의 삶은 피폐해졌다.

‘효율과 경쟁’ 중심의 신자유주의 농정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협동과 연대’ ‘공존과 공생’의 농업모델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몇 년 전부터 힘을 얻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러한 움직임에 선도적으로 나선 지자체가 경북도다. 지난 2013년부터 시작된 ‘경북형 마을영농 육성사업’의 핵심은 개별농가 중심의 농업생산체계를 마을단위 공동경영으로 전환, 개별 경영체의 영세성을 극복하는 것이다. 다른 지역에서도 농촌마을 공동체를 살리고자하는 다양한 형태의 협동조직, 협업조직, 공동체조직이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농촌공동체회사 등의 이름으로 속속 구체화되고 있다.

따뜻한 이웃들이 함께 지지고 볶으며 살맛나게 사는 삶은 결코 드라마 속 판타지만은 아니다. 농촌주민들의 ‘협동과 연대’가 해체되는 농촌공동체에 활기를 불어 넣고, 우리농업의 미래를 준비하는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새해를 맞아 그 희망의 응답을 ‘공동경영’의 현장에서 찾아본다. 

김선아 기자 kimsa@agrinet.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