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정연구센터는 지난 18일 서울글로벌센터 9층 국제회의장에서 ‘진화하는 지역, 도농관계의 전환’이란 주제로 제22회 연례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완주군 로컬푸드 성공요인
인구 65만 전주시와 교류 중요
도·농간 결핍과 잉여 교환하는
사회적 경제 방식 협력을


도시와 농촌의 경제적, 사회적 불평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력한 대안으로 ‘사회적경제를 통한 도농순환’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농업과 농촌문제의 해결책을 농업과 농촌 자체에서 찾지 말고, 오히려 도시와의 교류 및 협력에서 모색하자는 것이다.

지난 18일 ‘진화하는 지역, 도농관계의 전환’이란 주제로 열린 (사)농정연구센터 제22회 연례심포지엄에서 임경수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초빙연구위원은 완주군의 사례를 통해 사회적경제를 통한 도농순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임 연구위원은 ‘농촌형 사회적경제와 도농순환’이란 주제발표에서 “완주군의 로컬푸드는 연 70억 이상의 매출을 통해 1000여명의 로컬푸드 생산자가 안정된 소득을 올리고 있고 관련된 유통, 가공 분야에서 500명이 넘는 일자리를 창출했다”며 “완주군이 로컬푸드 및 농촌활력사업을 통해 빠른 시간 안에 사회적경제와 관련한 성과를 이룰 수 있었던 여러 이유 중 하나는 인구 65만의 전주시를 둘러싸고 있는 지리적 조건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전주시가 로컬푸드의 소비자로서, 완주군에 필요한 인적자원의 공급처로서 기능을 했다는 것이다.

임 연구위원은 “완주군의 사례처럼 도시와 농촌지역이 사회적경제 방식의 교류와 협력을 통해 순환적 관계를 구축한다면 우리 사회를 지속가능하게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농촌의 특정지역과 도시의 특정지역이 지역주민 사이에 사회적 관계를 통해 유연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다면 도농순환은 더욱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도시로 이동한 인구를 다시 농촌으로 분산하는 이른바 ‘인구의 도농순환’은 도시와 농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이란 점에서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임 연구위원은 “농촌으로 도시민의 유입을 촉진하는 것은 단순히 농촌지역 인구의 숫자를 늘리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며 “인구의 증가는 지방정부의 세수와 중앙정부의 지방교부세 증가로 이어지고, 늘어난 인구가 경제활동을 통해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실제로 한국은행 제주본부에서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제주도는 꾸준한 인구유입으로 2012년 5000명에 가까운 인구가 증가됐고, 동시에 2010년에서 2014년 사이 지방세는 매년 18.3%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인구유입이 지역내총생산(GRDP)을 2.1% 증가시켰으며 늘어난 인구의 생산참여와 소비지출로 2160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했다.

임 연구위원은 “현재 안전한 식품의 생산과 공급, 일자리의 창출과 재배분, 새로운 주택수요에 대응하는 문제를 도시와 농촌이 자체적으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기본적으로 도시에서 농촌으로의 인구이동과 도시와 농촌의 결핍과 잉여를 나누는 과정, 즉 도농순환으로 이러한 문제는 효과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기노 기자 leekn@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