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우가 송아지 형태로 수입된다는 이야기가 나왔다는데, 좀 알아봐 주실 수 있으십니까?”며칠 전 농민단체의 한 관계자로부터 한통의 전화를 받았다. 내용은 당황스럽게도 ‘수입생우 이야기’였다. 기자조차도 ‘정말 그런 일이 있었어?’했다.

곧바로 전화를 돌린다. 먼저 한우협회다. “설마 그런 일이 있겠어? 지금 총선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그런 악수를 두지는 않을 거야.”라는 말이 돌아온다. ‘처음 듣는 소리라는 것’이다.

협회 이야기가 이어진다. “수입은 자유화 돼 있으니까 업자가 들여오겠다면 들여오는 것은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는 상황이긴 하다”  “하지만 들여와도 호주는 우리한데 생우는 수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였기 때문에 미국이나 뉴질랜드가 아니겠느냐” “그런데 송아지를 들여오면 생산자들의 반발은 물론, 들여와서 20개월 넘게 키워야 하는데 돈이 되겠느냐?”는 것이었다.

농식품부로도 연통을 넣는다. 답신은 이랬다. ‘처음 듣는 소식입니다. 정부차원에서 논의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닌 것 같습니다. 사업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아닌가요?’가 내용이다.
정부가 나서서 할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틀림없이 나온 이야기는 나온 이야기인 것’ 같다. 같은 날 저녁 만난 한 축산관련단체장의 말이다. “누구인지 출처를 말해줄 수는 없지만 비공식적인 자리에서 나오긴 나온 말”이라는 것이다. '국내 소가 모자라니까 수입을 하면 어떻겠느냐’는 것이었는데, 말 그대로 ‘아이디어(?)’차원이었다는 것. 그래서 실행여부는 불투명하다는 것.

기자가 생각해도 그랬다. ‘아무리 소가 모자란다 하더라도 부실 대책이 지적되는 FTA 개방정국에, 거기에다 내년 4월에는 총선이, 당장은 국감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생우를 수입하겠다는 생각을 정부차원에서 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기억을 더듬어 봐도 그렇다. 2001년 호주산 생우가 수입됐을 때 한우농가들의 전국적인 반대운동과 농가 입식저지, 그리고 수입생우에 사료를 판매하는 사료업체에 대한 불매운동에 이어 결국 생우수입업자가 공식적으로 수입을 포기하기도 했고, 이후에 또 수입 생우가 들어올 때마다 같은 일이 반복됐다.

결국 호주측은 ‘생우를 수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나타내기까지 했다. 결코 만만치 않은 일. 만약에 수입을 하겠다는 민간업자가 있더라도 정부가 나서서 말려야 할 형국이다. 한 축산관련 단체장의 말대로 이것이 ‘아이디어(?)’차원에서 나온 이야기로 끝나기를 바란다. 만약 실행으로 이어진다면 가뜩이나 성난 농심에 기름을 뿌리는 일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진우 기자 leej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