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연 구제역 발병농가 연구, 농가의 경영 프로그램 등과 연계해 현행화 필요

▲ 2014~2015년 구제역 발생농가에 대한 조사·분석 결과 구제역 발생이 일부 지역에 집중돼 이들 지역에 대한 방역관리지구 지정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KAHIS(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의 현행화가 이뤄지지 않아 정보 활용도가 낮다는 지적이다. 또 2014~2015년 구제역 발생 농가에 대한 조사·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탁사육 농가에서 상대적으로 구제역 발생 비율이 높아 이들 농장에 대한 관리가 강화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충청지역서 90% 발병
방역관리지구 지정 검토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구제역 발병 농가 실태와 정책 과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2014년 한돈농가 경영 실태조사와 역학조사 보고서(2014년 12월 6일부터 2015년 3월 8일까지 발생한 129개 농가 대상) 등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KAHIS가 방역과 관련한 축산농장의 많은 기초정보를 갖고 있으나 정보가 상시적으로 업데이트 되지 못하고 있어 방역활동 및 역학조사 시 활용률이 떨어진다는 것. 특히 각 농가별 질병 발생에 따라 KAHIS를 통해 의심축 신고 접수, 차량출입정보 등을 활용해야 하나 현장 방역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정보등록이 안 되고 있어 데이터 활용이 극히 제한적이라는 지적이다.

따라서 KAHIS 정보가 제대로 활용되기 위해선 즉각적인 현행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개별 농가가 운영하는 경영프로그램이나 사양관리 프로그램 등과의 연계를 통해 현행화가 보다 잘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

이와 함께 2014~2015년 발생한 구제역 상황을 분석한 결과 발생 지역은 경기도 32.5%, 충남도 31.0%, 충북도 28.6%, 경북도 4.8%, 강원도 3.2% 순으로 나타났으며, 돼지 사육농가 수 대비 구제역 발생 농장의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충북도가 사육농가 수 대비 11.7%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또 이번에 구제역이 발생한 농가중 46.0%는 과거에도 구제역이 발생한 농장으로 조사됐으며, 자돈을 구입하거나 위탁받아 출하하는 비육농가의 발생 비율이 46.0%로 높게 나타났다.

지인배 농경연 연구위원은 “이번에 발생한 구제역은 경기도와 충청도 일부 지역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이들 지역에 대해서는 방역관리지구로 지정해 집중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비육 농가의 경우 자돈이 농장 내로 전입·출하되는 과정에서 구제역이 발생할 가능성이 일관사육 농가보다 높은만큼 자돈의 전출입 과정에서 구제역 바이러스가 전파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구제역 발생 농장에서 이용 중인 차량의 수는 평균 2.12대였으며, 확인이 이뤄진 농장에 대한 축산차량 등록률이 평균 14.5%로 매우 낮게 나타나 GPS 단말기를 부착해 출입정보를 수집하는 축산차량 등록제의 정보 가치가 낮다는 지적이다.

또한 농장에서 폐사한 돼지의 70% 이상이 거름(퇴비 또는 액비)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하면 거름에 돼지 질병 바이러스가 포함돼 있을 가능성이 있어, 폐사축의 적정한 처리나 거름의 안전성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해외여행 경험이 있는 구제역 발생 농장의 고용주 비율은 19.7%, 피고용인은 16.5%로 나타났으며, 구제역 발생 농장은 1주일에 평균 4.20회 축사 외부 소독을 실시하고 있었다.

김관태 기자 kimkt@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