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 “농가 의식개혁부터”-농민 “지자체·농협 쇄신이 먼저”

제주의 감귤산업 발전을 위한 선결 조건을 두고 학계와 농민 등의 입장차가 커 도민이 공감하는 감귤 구조혁신 세부 실행계획이 제대로 마련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21일 25명의 감귤산업발전 자문단을 위촉하고 감귤구조혁신 세부 실행계획 마련을 위한 회의를 진행했다. 자문위원들은 이날 회의에서 고품질 감귤 생산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대를 형성했으나 ‘우선적 농민 의식개혁’과 ‘정책 점검 및 행정·농협 쇄신’ 등 선결 조건을 두고는 뚜렷한 입장차를 보였다.

현해남 제주대 교수는 감귤농가의 행정 의존성을 지적하며 “제주는 돈을 못 버는 농가의 발언권이 강해 구조혁신도 중요하지만 감귤농가의 의식개혁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성익 전 제주도의회 부의장은 “전체 3만 농가 중 1만 농가만 끌고 가야 한다”며 “2만 농가를 다 끌고 가면 제주는 죽을 수밖에 없어 소비자가 외면하는 못하는 농가는 도태시키고 잘하는 농가를 살리는 정책을 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세중 서귀포농협공선회장은 “행정이나 농협이 선거를 위해 선심을 쓰다 보니 감귤 정책이 이렇게 된 것”이라며 농협과 자치단체의 책임론을 주장했다. 김 공선회장은 “독점품목임에도 제값을 받지 못하는 것은 행정과 농협이 우왕좌왕했기 때문”이라며 “행정과 농협이 먼저 쇄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대수 전 전농 제주도연맹 의장은 “일부에서 농민 의식개혁을 요구하고 있지만 농민들도 고품질을 해야 한다는 것은 다 알고 있다”며 “잘 못하는 농가를 어떻게 끌어가야 할 것인가가 문제이지 무조건 농민 의식을 개혁하라고만 하면 되느냐”고 지적했다.

송 전 의장은 이어 “계통출하를 얘기하는데 농협은 매취사업에 실패하면 안하려고 한다”면서 “농민에게만 호소하지 말고 정책 등을 다시 살펴보고 행정 스스로 문제가 무엇인지 되돌아 봐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 외에도 이번 회의에서는 비상품 산지폐기, 타이벡 지원, 만감류 수출정책, 신품종 등의 문제가 거론됐으며,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인재 육성, 마케팅 등 분야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제주=강재남 기자 kangjn@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