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주최한 제4회 친환경농산물 품평회에서 다양한 가공식품이 선보여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았다는 소식이다. 친환경(유기)농산물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품의 출시는 향후 친환경(유기)농산물의 소비확대는 물론 친환경농업 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한 현상이다. 유기 가공식품의 확대 개발 없이는 유기농산물 소비확대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난 2000년 미국이 세계에서 가장 많이 유기농산물을 판매한 이유가 원료 농산물을 가공, 다양한 제품을 생산했기 때문이라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러나 최근 국내로 수입되는 유기가공식품에 대한 관리체계 구축이 제대로 안돼 국내 유기가공식품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높다. 우리나라는 친환경(유기)농산물과 가공식품의 표시제도가 다르게 운영되고 있는 것이 문제다. 친환경(유기)농산물은 표시인증기준에 의거, 정부 및 민간인증기관의 인증을 받게 되어 있지만 가공식품은 일정 기준만 맞출 경우 인증을 받지 않아도 유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 문제는 식약청의 식품표시 기준에 모순점이 많다는 점이다. 국내산 유기가공식품을 수출하려면 수입국의 지정기관에서 인증을 받도록 돼 있지만 수입 유기가공식품은 수출국이 지정한 인증기관에서 인증을 받으면 수입할 수 있도록 돼 있기 때문이다.한마디로 수입 유기 가공식품은 국내 진입이 용이한 반면 국내 유기식품의 해외진출은 막아 버리는 정책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우리는 이런 문제를 조기에 해결하지 못하면 친환경(유기)농산물 소비확대는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시급한 대책 마련을 촉구한다. 국내 유기 가공식품도 유기농산물과 같이 친환경농업육성법에 의거,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농림부가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유기 가공식품 수입시 수출국 정부가 기준 여부를 판단하는 현행제도를 우리 정부가 심사하고 평가기준을 정해 수입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하는 것이다. 특히 현행 유기 가공식품에 적용하는 원재료 비율 50% 이상, 95%미만을 70% 이상, 95% 미만으로 상향조정하는 등 유기 가공식품의 관리를 강화해야 함은 물론이다. 각 당 대선 후보들은 아직 이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선 후보는 물론 전문가들도 개방화시대 친환경농업이 살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새 정부는 말로만 친환경농업을 육성시키겠다고 하지 말고 유기식품에 대한 불합리한 제도부터 개선할 것을 강조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