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도하개발아젠다 뉴라운드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한·칠레 자유무역협정이 타결되는 등 개방화 시대를 맞아 지방농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지역특성에 맞는 농업· 농촌 발전정책을 수립, 추진해야 거센 개방 파고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각 지자체들이 민선자치 이후 지역실정에 맞춘다는 이유로 단행하고 있는 조직개편이 농정조직의 축소로 이어져 이러한 기대를 무색케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강원도는 농정국과 산림국이 합쳐지고, 제주도는 산업경제국과 감귤 특작국이 통합됐으며, 각 도 농정국에는 농정계가 있고, 시·군에도 농정 기획계가 있기는 하지만 명칭만 있을 뿐, 각 과별 업무를 취합하고 보고자료를 만드는 수준인 경우도 많다. 특히 시·군의 농정조직은 절반 가량이 농업기초 행정만 남겨놓은 채 농업기술센터 및 사업소로 농업기능을 통합해 운영하고 있다. 결국 이는 농업기술센터의 행정기능 약화는 물론 예산 수립권까지 구속받아 힘없는 부서로 전략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물론 각 지자체의 재정과 지역환경의 여건에 따라 어쩔 수 없다는 군색한 변명을 할 수 있지만 지역농업 발전을 위해서는 지자체 농업 부서의 축소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한다. 지자체가 그 지역특성에 맞는 농업을 육성 발전시키겠다는 의지가 없음은 물론 지역에서 농민 경시와 농업여건의 악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국가전체의 농업발전이라는 장기적인 관점에서도 좋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각 당 대선 후보들도 대선 공약 중 지방농정 체계의 구축을 어떻게 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실망하지 않을 수 없다. 지방농정 체계의 구축은 세계화시대를 극복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제임에도 이를 무시하고 중앙농정에만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그동안 중앙집권적 농정은 막대한 예산을 쓰고, 다른 한편에서는 농가부채대책이란 부메랑을 얻어맞는 악순환을 되풀이 해오고 있다.정부는 말로만 지방농정 혹은 자율농정을 표방하면서도 실제로는 중앙집권적인 농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지방정부가 시·군 농어촌발전계획과 지역농업계획을 수립하고 그에 기초해 예산을 세우고 집행한다고 하지만, 그것은 자율적인 계획이 아니라 중앙정부 시책의 시·군 축소판 내지 개정판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어떻든 어느 대선 후보가 대통령이 되든 차기 정부는 축소된 지자체 농업부서를 복원함은 물론 지방 중심의 농정 추진 체계 구축을 통해 새로운 농업의 활로를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