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2월 19일 치러질 제16대 대통령선거는 400만 농민들에게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향후 농업·농촌의 진로를 판가름하는 마지막 기회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민족의 주곡인 쌀을 반드시 지키고, 농업·농촌·농민을 회생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농업정책을 제시하고 이를 반드시 실천해 낼 수 있는 정치지도자를 선출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인 것이다.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가 지난 5일 대선 후보들을 초청, 농업관을 검증한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 농업계의 큰 주목을 받았다. 한농연이 지난 97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실시한 이번 토론회에서 각 당이 제시한 농정공약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우리 농업·농촌에 대한 현안을 직시하고 이에 맞는 대책을 세웠다는 점에서 일단은 긍정적이다. 각 당은 공통적으로 농가부채 경감대책을 제시하고 농업예산을 국가예산 대비 10%로 확대하며, 2004년 쌀 재협상에서 쌀 관세화 유예를 관철시키겠다고 공약했다. 특히 농어촌복지특별법과 학교급식법을 제정하고 농어촌의료보험 지원을 늘리며, 각종 직접지불제를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한농연이 제시한 농정공약을 일정부분 수용한 것이다. 특히 각 당 대선 후보들도 농업·농촌문제는 여야가 따로 없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농촌회생을 위해 모든 노력을 경주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결국 어느 후보가 대통령이 되든, 각 당들이 제시한 농정공약이 제대로 지켜지기만 한다면 우리 농업·농촌·농민은 새로운 희망과 용기를 갖게 될 것이며 경쟁력 있는 농업, 잘사는 농촌으로 탈바꿈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각 당이 발표한 농정공약들이 대선을 앞두고 단순히 농민표를 의식, 제시한 것이 아닌지 의구심이 가는 것또한 사실이다.그것은 그동안의 선거에서 내세웠던 공약들이 대통령으로 당선된 이후에 여러 가지 이유로 잘 지켜지지 않아 농민들의 정치권에 대한 불신의 벽이 높기 때문이다. 지난 15대 대선 때도 농업계가 대선 공약을 검증한 이후 김대중 대통령 후보를 많이 지지했지만 5년이 지난 현재 농민들은 다들 속았다고 생각하고 있다.따라서 각 당 대선 후보들은 이번 토론회에 참석, 3000여명의 한농연 회원들 앞에서 제시한 농정관이 400만 농민들과의 약속이라는 점을 명심하고 자신들이 제시한 공약을 지킬 것을 촉구한다. 농민들도 각 당 대선후보들의 농업에 대한 철학과 가치관 등을 종합 분석, 농업과 농민을 가장 잘 이해하고 대변할 수 있는 지도자를 선출하는 유권자 혁명을 이루어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