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온실 ICT 기기 단체표준 마련 공청회

▲ 스마트온실 ICT기기 단체표준(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가 지난 15일 서울경마공원에서 열렸다.

농업-ICT 융복합, 기준·방향성 흐릿…기술 실용화 안되고 현장 만족도 낮아
표준화 핵심은 제어기…모든 기업이 공유할 수 있는 표준제어 플랫폼 필요 


시설원예 분야에 ICT기기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농가 및 관련 기업들의 상황이 고려된 표준화 작업이 진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정부는 농업과 ICT 융복합을 창조농업의 핵심으로 설정하고 다양한 사업을 전개해 왔다. 이에 따라 지난해는 시설원예·과수, 양돈 분야를 중심으로 ICT융복합 모델을 현장에 실증·보급하는 등 ICT를 농업에 적용하려는 시도를 이어오고 있다.

그러나 농업분야의 ICT융복합은 여전히 초기상태에 머물러 있고 현장의 만족도도 낮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원인은 연구의 구체적인 지향점과 기준 및 방향성의 정립 없이 다양한 추진 주체와 정책 및 사업이 산발적으로 추진된 면이 적지 않다. 더군다나 온실에 적용되는 모델이 실용화로 이어지지 못하는 등의 문제도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과 한국농식품ICT융복합산업협회는 지난 15일 서울경마공원에서 스마트온실 ICT기기 단체표준(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류종길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팀장은 “농가 및 관련 기업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표준화는 규제에 불과하다”며 “시장상황에 따른 사실상의 표준화 정착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류 팀장의 이러한 주장의 배경에는 국내 기업과 농장의 상황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전체 시설하우스 가운데 ICT시설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농가는 약 7%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더욱이 농식품 ICT기업의 평균 자본금이 1억9000만원이며 기업의 활동 평균 연수는 9년, 평균 고용인력은 12명으로 타 분야에 비해 매우 영세한 형태다. 여기에 타 산업분야의 사업영역을 포함한 상위 기업을 제외하면 자본금 1억원 미만, 직원 10명 미만의 기업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농가에 보급되는 시제품들이 필요에 따라 장비는 주문해 조립하거나 완제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향후 우리나라 시설원예 ICT기기의 표준화는 농가 및 관련 기업들의 상황이 고려된 범용 통합제어기 개발지원을 통해 점차적인 표준화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것이 류 팀장의 주장이다.

류종길 팀장은 “시설원예 ICT기기의 표준화 핵심은 제어기에 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제어기는 시설원예 농가들이 사용하는 ICT기기의 접점에 있고 이 부분이 표준화되면 다른 부수적인 기기들은 농가에 상황에 맞도록 선택하면 될 것”이라며 “예를 들어 휴대전화에서 안드로이드 운영체계를 여러 회사들이 공유하는 것처럼 시설원예에서도 모든 기업들이 공유할 수 있는 표준제어 플랫폼(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영민 기자 kimym@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