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관률 충남연구원 박사

 

독거노인 돌봄·청소년 교육·농촌마을 정비 등
새 소득원 창출·지역 공동체 유지에 큰 도움


농촌여성의 일자리 창출이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연계될 수 있도록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단순히 좋은 일자리보다는 돌봄, 교육, 마을정비 등 농촌사회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일자리 창출을 통해 농촌공동체를 유지시켜 나가야 한다는 것.

지난날 27일 충남여성포럼 제54차 세미나에서 이관률 충남연구원 박사는 ‘여성농업인을 위한 일자리 창출 방안’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안희정 충남지사와 충남도의회 농업경제환경위원장 김홍렬 의원, 충남여성포럼 회원 및 한여농충남도연합회 회원 등 120여 명이 참석한 이날 세미나에서 이 박사는 농촌여성 일자리 창출과 농촌공동체 유지의 연계를 강조했다.

그는 “농산물을 생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가공·유통하고, 농업과 농촌을 활용한 농촌관광과 접목하는 6차산업화 정책은 중요한 농촌일자리 정책이지만, 농촌여성의 시간적, 기술적, 자금적 여건을 고려할 때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라며 “여성의 ‘양육적, 원조적, 감성적, 세심함, 예술적, 협조적’ 특징을 활용한 농촌여성 일자리 창출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미 농촌여성 상당수는 농업에 종사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진입이 수월한 돌봄과 교육, 마을정비 등 공동체 서비스 일자리를 창출하면 농촌여성의 소득을 높이고, 지역공동체 유지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박사는 “현재 농촌사회는 독거노인의 돌봄서비스, 농촌청소년의 교육지원, 농촌마을의 재정비 등의 다양한 사회적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지만, 이런 서비스 대부분이 도시에 있는 기업과 단체에서 공급지향적으로 제공해 오고 있다”며 “접근방식을 전환해 농촌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돌봄, 교육, 마을정비 등의 사회서비스를 농촌주민, 특히 농촌여성이 제공하면 농촌사회의 일자리 창출과 함께 농촌공동체 유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역설했다.

실제로 아일랜드의 경우 2004년부터 농촌사회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농촌주민들이 스스로 제공하고, 개별농가는 25만원에서 40만원의 수입을 얻는 농촌사회보장제도(Rural Society Scheme)를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농촌여성의 일자리 창출의 정책관점을 ‘좋은 일자리’에서 ‘다양한 일자리’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이 박사는 “우리는 지금까지 좋은 대우와 임금을 보장하는 일자리에 초점을 두어 왔지만 농업이라는 직업을 가지고 있고, 가정에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는 농촌여성의 위치를 고려할 때 좋은 일자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하는 정책이 함께 병행돼야 한다”며 “농촌공동체가 필요로 하는 각종 서비스와 재화를 농촌여성이 주도적으로 공급할 경우 매우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기노 기자 leekn@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