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이하 젊은 층의 농촌 유입이 해마다 큰 폭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가구는 4만4586가구로, 2013년 3만2424호 대비 37.5%가 증가했다. 이주인구는 8만855명. 사상최대 규모다. 특히 40대 이하 가구의 귀농·귀촌 증가세(43.0%)가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이 베이비부머(1995~1963년생) 이후 세대에까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작년 4만4586가구 귀농·귀촌 
전년대비 37.5% 증가
이주인구 8만855명 사상최대

귀촌가구 40대 이하 가장 많고
인기지역 ‘제주·전남·경북’ 부상
정부 정착단계별 지원 강화 계획


이 중 귀촌가구는 3만3442가구. 2013년 대비 1만2000여가구가 더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40대 이하가 1만3913호로 가장 많고 50대(9,910), 60대(6.378), 70대 이상(3,241)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만149가구(30.3%)로 가장 많았으나 비중은 감소세인 반면, 제주(1,649.0%), 전남(267.0%), 경북(137.4%)이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귀농은 1만1144호로 3년 연속 1만가구 수준을 유지했다. 귀농의 경우는 50대 가구가 4,409호(39.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40대 이하가 3,698호(33.2%)로 그 뒤를 이었다. 귀농지역은 귀촌과 달리 영농여건이 양호하고 농지 등 초기투자 비용이 적은 경북·전남·경남 3개 지역(48.3%) 선호도가 높았다. 

▲귀농·귀촌이 늘어나는 이유=이같은 추세에 대해 19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언론브리핑을 진행한 이준원 농식품부 차관보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가속화되고 기대수명이 늘면서 장년·노년층의 탈도시화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 저성장 기조로 청장년 고용여건이 불안정해지자 농촌에서 비즈니스 기회를 찾으려는 젊은층이 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지난 2011년 실시한 국토연구원의 도시거주 베이비부머 대상 설문조사 결과도 이같은 진단을 뒷받침한다. 당시 응답자의 65%가 은퇴 후 주거·생활비가 적게 드는 농촌 이주를 희망했다. 여기에 최근 전원생활이나 생태적 가치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현상도 이같은 흐름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농촌에 새로운 활력 충전=귀농·귀촌인들의 유입은 농촌공동체와 지역 발전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마을이장이나 사무장 등을 맡아 마을경영을 책임지거나 청년회, 작목반, 귀농·귀촌모임 등에 활발히 참여하면서 농촌공동체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는 것. 실제 고창군 마을이장의 12%, 진안군 마을이장의 17%가 귀농·귀촌인이다. 도시에서의 다양한 비즈니스 경력을 바탕으로 가공·유통·체험 등 6차산업을 추진해 성공하는 사례도 점차 확산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6차산업 경영체 1만여 가구 중 귀농·귀촌인 경영비율이 13.2%에 달한다.

▲정부 귀농·귀촌정책 방향은=정부는 일단 각종 규제 완화와 함께 정착단계별 지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귀농·귀촌 탐색기간 동안 거주할 수 있는 ‘귀농의 집’ 지원 대상을 지역 내에서 취업이나 봉사활동을 하는 귀촌인까지 확대한다. 또 귀농·귀촌인이 조합을 설립하고 신규 마을을 조성할 때 기존에는 농림지역의 편입비율을 50% 이내로 제한했지만 앞으로는 2㏊ 이내 자투리 농지를 활용할 경우 이같은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다. 조합 설립 인원은 기존 20명 이상에서 5명 이상으로 완화했다. 농업창업자금 지원기준도 개선, 대출한도는 늘리고(2억원→3억원) 금리는 3%에서 2%로 내렸다. 젊은 층도 살만한 교육·문화·의료여건 조성과 함께 기존 마을주민과의 융합을 위한 ‘커뮤니티 형성 프로그램’도 지원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체계적인 사전 준비를 돕기 위해 지자체와 연계, 빈집이나 농지정보 등을 제공하고, 수요자 중심의 특화교육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관련 유상오 한국귀농귀촌진흥원 원장은 “정부가 귀농귀촌 희망자에 대한 교육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하지만, 올해 배정된 교육지원 인원은 고작 2800명으로 지난해 귀농·귀촌인이 8만여명임을 감안하면 전체 수요의 3% 수준에 불과하다”며 교육지원 확대를 주문했다. 특히 “귀농·귀촌인이 갑자기 늘면서 앞으로 원주민과의 갈등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수 있다”며 “원주민에 대한 교육은 물론 갈등을 중재하고 조정, 해결할 수 있는 기구나 전문가를 서둘러 지역에 배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선아 기자 kimsa@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