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분야의 기술혁신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농업인력이 충분해야 한다는 목소리와 함께 지역농업이 활기를 띠려면 농업인력을 포함한 이해관계자들의 유기적인 연계가 전제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농과대 졸업생 농업부문 취업률 17.3% 불과
정부-지자체-대학 등 연계로 지역농업 유도


최규성 새정치민주연합(전북 김제·완주) 의원이 (사)미래식량자원포럼, (사)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과 함께 지난 4일 국회 헌정기념관 대회의실에서 개최한 ‘대한민국 농업혁신포럼-기술혁신에 의한 농업의 성장동력화’란 주제의 토론회에서 이 같은 의견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농업인력 육성정책이 영농인력을 키우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춘진 새정치민주연합(전북 고창·부안) 의원이 밝힌 2013년 기준 ‘전국 9대 주요거점 국립대학 농업대학별 졸업생 진로 현황조사’를 보면, 농과대 졸업생 중 농업부문에 취업한 비율이 불과 17.3%다. 27개 종합대학에서 매년 6000여명의 졸업생이 배출되고 있지만, 정작 농업계에 발을 들인 졸업생은 20%도 안된다는 것. 손재근 경북대 명예교수는 “농대 교육이 지역농업 현장과 연계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손 명예교수는 “지역농업 특성에 부합하는 인력양성이 필요하다”면서 “지역농업 특성을 고려한 특성화 대학을 선정해 지원하고, 이곳에서 필요인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전문인력 양성을 강조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고희종 서울대 교수는 “기술개발과 산업의 운용은 전문인력이 담당하는 것인데, 우리나라는 인력양성에 대한 전체적인 조감도와 그에 따른 계획적인 투자가 아쉽다”면서 “예를 들어 종자산업을 부양한다고 하면서 종자사업 인력개발 ARC에 대한 투자는 인색하다”고 말했다. 고 교수의 의견은 손 명예교수가 “학문중심과 영농중심의 2원화된 교육체계로 운영이 돼야 한다”며 학문중심의 교육방안으로 ‘ARC와 같은 첨단융합형 연구집단 육성지원’을 제안한 것과 뜻을 같이 하고 있다.

이 같은 주장들에 대해, 민연태 농림축산식품부 창조농식품정책관도 “학교교육이 영농현장과는 괴리가 있고,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공감한다”면서 정부의 계획을 내놨다. 농고·농대 교육과정을 현장실습 중심으로 강화하겠다는 것. 그는 “2017년에 일부 농고를 ‘농업전문직업학교’로 운영하기 위해 올해부터 농업전문직업학교 운영모델 개발에 착수하고, 농대의 경우 전문기술과 영농창업능력 함양에 초점을 맞춘 ‘영농창업특별 교육과정(안)’을 마련해 올 하반기 입시시즌 이전에 지원학교를 선정하겠다는 게 주요 골자다.

농업분야 인력양성과 함께 지역농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됐다. 박기영 순천대 교수는 “중앙정부, 지자체, 지역대학, 생명과학연구자, 농업인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기술개발과 기술지도가 결합돼 현장에서 농업기술 혁신이 일어나고, 기술영농으로 이어질 수 있는 행정체계 개선이 필요하다”며 “지역농업을 혁신하기 위해서는 농촌진흥청과 지역 농과대학, 그리고 기술지원센터 등으로 연계되는 기술지원 기능 구축이 가장 절실하다”고 요구했다.

조영규 기자 choyk@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