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여성긴급전화(1577-1366)를 종합 콜센터로 통합하는 정부 정책이 재검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회성평등정책연구포럼과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가 최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 ‘다문화 정책 변화에 따른 이주여성 지원체계 방향 모색을 위한 토론회’에서 인권 전문가들과 이주민 단체 관계자들은 이주여성긴급전화가 다문화가족을 위한 종합 콜센터로 통합돼 이주여성들의 인권보호가 어려워졌다고 주장했다.

이날 강혜숙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공동대표는 기조발제를 통해 “그동안 이주여성긴급전화는 365일 24시간 핫라인 체계로 가장 많은 1차 상담이 이뤄졌는데, 올해부터 다문화가족지원사업단에서 운영하던 콜센터와 통합되면서 이주여성의 인권 보호 기능이 크게 축소됐다”고 진단했다. 따라서 가정폭력·성폭력·성매매 등 긴급한 상황에 처한 여성폭력피해 이주여성에게 자국어 상담 및 통역을 지원하는 이주여성긴급전화의 본래 목적을 회복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것. 

강 대표는 “이주여성 관련 정책은 다문화 정책에 따라 쉽게 변동되는데, 이주여성 폭력피해 지원은 어떤 경우에도 지켜져야 할 가장 기본적인 여성 정책이므로 3대 여성폭력 방지법에 명시하고 긴급전화-통합상담소-쉼터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지원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원옥금 베트남 공동체 대표 역시 “현재 이주여성긴급전화가 다문화가족을 위한 종합 콜센터로 통합되면서 상담 내용에 따라 상담원을 바꿔서 진행한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전문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며 “이주여성의 문제를 인권적 시각에서 바라보고 전문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최성지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정책과장은 “콜센터 통합은 국회에서 이주여성긴급전화와 다누리콜센터의 기능 중복이 지적돼 추진하게 됐다”며 “유관기관 간 연계 강화, 종합 전화센터 홍보 강화, 표준상담매뉴얼 보급, 상담원에 대한 교육강화 등을 통해 앞서 언급된 우려가 해소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기노 기자 leekn@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