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환경농자재협회가 지난 11일 개최한 세미나에서 참석 토론자들이 종합토론을 하고 있다.

친환경농자재협회 ‘유기농자재산업 발전 세미나’
업체 난립·마진율도 제각각…정책 연계노력 필요


친환경농자재의 철저한 품질관리와 함께 유통구조 파악을 통해 정책을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는 지난 11일 aT 화훼공판장 국화홀에서 ‘친환경비료 및 천연식물보호제 등 유기농자재산업 현재와 미래 발전과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주제발표에 이은 종합토론에서 이경원 농촌진흥청 농자재산업과 주무관은 “친환경농자재 불량비율이 현재 수준인 것은 납득할 수 없다”며 “이대로라면 산업 자체가 위험할 수 있어 내년까지 관리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 주무관의 이 같은 발언의 배경에는 국내 친환경자재의 현실이 반영된 결과다.
안인 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 부회장의 주제발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친환경자재 업체의 대부분은 종업원 15인 이하로 연평균 매출이 5억원 정도에 그친다. 또한 친환경자재 업체의 수는 550개가 넘지만 이 가운데 주요 30개 업체가 95%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그만큼 친환경자재 업체들이 영세하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친환경농자재 유통구조를 파악해 이를 정책과 연계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친환경농자재 유통시장은 영세업체들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마진율도 제 각각이다. 특히 중간 공급자들의 마진율이 높아 농가들이 느끼는 체감가격은 훨씬 높아 불만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렇다 보니 유통구조를 제대로 파악하기가 힘들어 정책과 연계가 사실상 힘들다.

이경원 주무관은 “산업의 규모를 정확히 알아야 정책도 펼 수 있는데 친환경농자재 유통구조와 산업규모 파악이 힘든 것이 제일 문제”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협회 회원사들을 중심으로 유통구조를 파악하고 가격 결정의 흐름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파악하는 것이 당장은 불가능하더라도 지금부터 시간을 두고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안인 부회장은 “친환경자재 보조지원 사업의 확대로 공시 자재가 급격히 증가하고 업체의 수도 난립하고 있어 구조조정이 되지 않은 것은 문제”라면서도 “정부에서도 친환경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개발 비용을 지원하는 등 산업발전을 위한 예산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영민 기자 kimym@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