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농어촌지역 지방자치단체의 최고 이슈(정책)을 꼽으라면 단연 ‘귀농·귀촌’일 것이다. 굳이 정부까지 나서지 않더라도, 지자체의 인구 유입책은 어쩌면 사활이 걸린 문제다.

이런 경향은 베이비붐 세대의 본격적인 은퇴시기와 맞물려 더욱 가속도가 붙고 있다.

전남만 해도 그렇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전남으로 이주한 귀농·귀촌 가구는 8591세대에 달한다. 숫자만 많은 것이 아니라 증가세가 아주 크다.

2009년 549세대에 불과했던 귀농세대는 2010년 768세대, 2011년 1521세대, 2012년 2492세대로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3261세대가 귀농하며 처음으로 3000세대를 넘겼다. 불과 5년 사이 귀농이 무려 6배나 증가한 셈이다.

반면 귀농을 했다가 적응을 하지 못해 다시 도시로 이주하는 역귀농은 지난 5년간 395세대밖에 되지 않았다. 전체 귀농인의 4.6%에 불과하다. 

무엇보다 해가 갈수록 역귀농이 큰 폭으로 줄고 있다는 것이 고무적이다.

연도별 역귀농 비율은 2009년 10.4%, 2010년 7.6%, 2011년 5.1%, 2012년 4.9%, 2013년 2.5%로 해마다 큰 폭으로 감소했다.

그런데 이 시점에서 한 가지 생각해 볼 부분이 있다. 실패율이 크게 감소했다고 하지만, 실패사례의 상당수가 3년차 이후 발생한다는 점이다. 1~2년차의 경우 정착지원 프로그램 등 각종 지원책이 집중되면서 실패가 적은 반면 3년차를 넘어서면 현실적인 부분이 대두되는 것이다.

이는 ‘역귀농’을 하게된 이유에서 잘 나타난다. 전체 31.4%가 낮은소득을, 22%가 영농기반 부족을 꼽았다. 절반이상이 소득이 낮거나 소득을 올릴 기반이 없다는 점이다.

귀농·귀촌 정책은 여전히 유효하다. 다만 유치뿐만 아니라 후속관리에도 더 많은 정책개발이 필요하다. ‘산토끼’ 잡으려다 ‘집토끼’까지 놓쳐선 안된다.
최상기 부국장 전남취재본부 choisk@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