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 문제시 소비침체 우려…취급 주의해야
정부·지자체·수산관련단체, 선제적 관리 집중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면서 부패가 쉬운 수산물의 특성상 안전관리에 대한 주의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최근 정부와 각 지자체는 물론 수산관련 단체에서 수산물 안전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이는 여름철 발생의 우려가 높은 수산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다.

특히 여름철 발생률이 높은 비브리오패혈증은 예년에 비해 검출 시기도 빨라져 당국이 선제적 안전관리에 나섰다. 실제로 비브리오패혈증은 해수 온도가 18℃ 이상 상승하는 5~6월경부터 검출되기 시작하지만 올해는 지난 4월 22일에 검출된 바 있다. 질병관리본부의 지난 3년간 비브리오패혈증 월별 환자 발생현황에 따르면 환자 발생이 6월부터 시작돼 8월과 9월에 집중됐다. 이에 해수부와 식약처는 관계부처 합동 지도·점검과 함께 안전검사를 강화하고 있다.

이처럼 여름철 수산물 안전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원인은 수산물의 취급 특성에서 기인된다. 수산물은 유통이나 보관에 조금만 취약할 경우 부패가 쉬워 식중독을 유발하는 등 취급 부주의에 따른 안전사고 위험성에 노출돼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만큼 안전관리에 더욱 철저를 기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유통은 물론 판매 등 수산물 취급에 더욱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움직임과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수산식품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해 소비자의 불안감이 높아지면 소비침체로 이어질 수 있는 개연성이 늘 상존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세월호 사태로 수산물 소비가 침체된 바 있는 상황에서 수산식품의 안전사고 발생으로 수산업계가 장기적 침체에 빠질 수 있는 우려가 큰 것도 사실이다. 정부나 각 지자체 및 수산관련 단체들이 선제적 안전관리에 나선 것도 이러한 우려를 바탕에 둔 것이다. 안전관리 강화를 통해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동시에 수산물의 소비침체를 막자는 취지에서다.

이미 지난해 일본 방사능 오염수 유출로 일본산은 물론 국내산 수산물의 극심한 소비침체를 경험한 바 있는 수산업계의 입장에서는 수산물 안전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산물에서 기인하는 식중독이 도마나 칼 등을 통해 감염될 여지가 큰 만큼 수산물 판매업소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과 교육의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영세한 수산물 판매업소가 상당한 만큼 일일이 이들 업소에 대한 지도나 단속이 힘든 현실에서 정기적인 교육을 통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는 의미에서다.

수산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나 지자체, 수산단체들이 수산물 안전관리를 완벽하게 할 수는 없다”며 “안전관리는 가장 사소한 부분에서 발생할 소지가 큰 만큼 수산물의 유통이나 취급을 직접 담당하는 관계자들의 인식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영민 기자 kimym@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