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가 끝이 났다. 이번 선거 결과에 따라 향후 지방농정의 방향과 내용이 당선자의 공약에 따라 새롭게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여성농업계 역시 마찬가지다. 여성농업인의 역할과 중요성에 공감하는 후보자들이 많이 선출된 곳에서는 여성농업인정책 역시 활성화 될 것이지만 반대가 될 수도 있다.

표를 얻기 위해 쏟아냈던 선심성 공약들이 실제로 이행되는지 여부는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다. 그러나 뚜껑을 열기까지 중요한 것이 있다. 바로 여성농업계의 감시다.

선거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여성농업인들은 지역별 기자회견을 통해 지역 여성농업인정책을 규탄했다. 여성농업인이 중요하다고 말하면서도 전담부서가 없는 점을 비판하고, 여성농업인육성지원조례와 시행규칙을 제정하고 관련 예산을 편성하라고 요구했다. 이러한 외침이 향후 지역농정에 포함될 수 있을지를 감독해야 한다. 그리고 그 힘은 여성농업인단체에 있다.

그간 여성농업계가 한목소리를 내고 정책활성화를 이끌어야 한다고 했을 때 듣던 얘기가 있다. 단체간 특성과 뿌리가 달라서 힘들다는 것이다.

그래서 제안한다. 지역의 여성농업인들은 많은 경우 한 단체에 국한하지 않고 여러 단체에 가입해 활동한다. 따라서 지역으로 내려갈수록 여성농업인간 연대가 가능하며, 지역농정에서 여성농업인정책 활성화라는 큰 그림에 함께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국민 개개인의 피부에 와닿는 정책은 결국 지역에서 발굴되는 정책이다.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목소리를 내고, 그 정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관리·감독과 함께 쓴소리도 해야 한다.

지역별 여성농업인단체가 연대해 이번 선거에서 당선된 후보들의 여성농업인정책을 점검하길 바란다. 그리고 시기별 공약 이행도를 평가하고, 나아가 지역 특성에 맞는 여성농업인 정책이 개발될 수 있도록 적극 나서주길 당부한다.

강효정 기자 전국사회부 kangh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