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상진 농경연 박사 “교육 활성화 주체로 육성…지역공동체 뒷받침 하도록”

농어촌학교 폐교를 막기 위해서는 지역붕괴 우려가 있는 학교에 집중투자하고 교육활성화 주체를 육성하는 등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민공감농정위원회 행복농촌분과가 지난달 24일 마련한 맞춤형 복지포럼 제1차 회의에서 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사는 이같이 주장했다. 행복농촌분과는 농업인단체, 학계, 연구원 등이 농촌복지와 교육·문화 분야의 정책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올해 운영계획과 함께 2010~2014년까지 진행될 제2차 삶의 질 대책 추진성과와 분석이 이뤄졌다.

마상진 박사는 이날 발표를 통해 “정부가 농어촌 학교 관련 사업을 추진함에도 소규모학교 통폐합이라는 고질적인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며 “통폐합은 교육당국이 교육재정 효율화 차원에서 추진해 지속될 것이므로 인구가 적은 지역의 농어촌학교 폐교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 박사는 이에 대한 개선방향으로 2015~2019년까지 추진될 제3차 농어촌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은 지역공동체 육성과 농어촌 학생 삶의 질 향상이라는 두가지 비전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농어촌 지역사회가 지속가능한지 여부는 앞으로 농어촌을 짊어지고 갈 미래 세대를 육성해내는 농어촌 학교에 의해 결정된다”며 “농어촌 교육이 취약할 때 도농격차를 더 심화시키고 농어촌 지역사회의 공동체성이 위협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농어촌학교 폐교는 농어촌 주민 이농의 주원인으로, 범국가 차원에서 정책적 배려가 절실하다”며 “법·제도 개선과 함께 지역사회 공동체가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마 박사는 “이를 위해선 농어촌학교가 폐교됐을 때 지역사회 붕괴가 촉진될 위험이 있는 지역 학교에 대해 집중투자를 추진해야 한다”며 “농어촌 학교에 대한 열정과 전문성을 갖춘 교장과 교사를 발굴·육성하고, 도시학생의 농어촌 유학 및 농어촌 체험활동을 확산해 지역 활성화를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효정 기자 kangh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