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지방선거, 여성농업인에 필요한 농정공약은<2>

본격적인 농번기가 도래하고 있다. 따뜻해지는 날씨만큼이나 농업인들의 손길이 분주하다. 올라가는 기온과 함께 커지는 것이 있다. 바로 여성농업인들의 영농부담이다.

얼마 전 농림축산식품부가 실시한 2013 여성농업인 실태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농업·농촌활동의 어려움으로 과중한 노동부담을 꼽는 비율이 31.3%에 달했다. 이같은 결과는 농사일의 절반 이상을 담당하는 비율이 66.2%에 달하고, 가사노동을 75% 이상 담당한다는 비율이 82.8%인 것과 무관하지 않다. 영농부담이 커지면서도 가사노동은 여전히 여성농업인만의 몫으로 남은 것이다. 다가올 6.4 지방선거 공약으로 여성농업인의 노동부담을 줄여주는 정책이 필요한 이유다.

●마을공동급식 확대
식사준비 부담 덜어 ‘호응’
마을공동체 활성화 이바지

▲식사준비부담 줄이고 공동체성 올리는 마을공동급식=마을공동급식은 바쁜 농번기 여성농업인들의 식사준비 부담을 해소하는 성과가 있다. 여성농업인단체에서 농번기 중식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요구한데 대해 2007년 나주에서 첫 사업을 시작하면서 전국으로 확산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현재 마을공동급식사업을 실시 중인 곳은 전남 나주를 비롯해 순천·영암·곡성 등이며 경북에서도 영주·성주·봉화가 시행하고 있다. 경남 역시 의령·진주 등에서 실시 중이다.

여성농업인들의 호응도 크다. 공동급식을 통해 줄어든 부담만큼 영농에 더 매진할 수 있었다는 의견과 함께 시행하지 않는 곳에서는 여성농민단체를 통해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전남 영암의 여성농업인 김모 씨는 “농번기만 되면 세끼 식사부터 새참까지 준비하느라 허리가 휠 지경인데도 대접이 소홀하다는 소리를 들을까봐 손수 준비할 수밖에 없었다”며 “마을에서 공동으로 식사를 준비하니 부담을 줄여서 좋고 가장 현실적으로 와닿는 정책이었다”고 강조했다.

마을공동급식의 또다른 장점은 마을공동체가 활성화 된다는 데 있다. 바쁜 농번기에 공동으로 식사를 준비하면서 시간과 일손이 줄어든 반면, 아이부터 노인까지 함께 모여 밥을 먹는 일이 잦아진 것이다. 자칫 소외될 수 있는 독거노인이나 취약계층까지 포용하면서 마을공동급식이 새로운 공동체문화 형성에 기여하고 있다. 이같은 성과 때문에 마을공동급식을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등에서 6.4 지방선거 농정공약으로 채택한 상태다.

김황경산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정책국장은 “영농형태가 변하면서 여성농업인들의 역할이 다양해 지고 있지만 가사노동은 여전히 여성 개인이 떠맡아야 한다”며 “마을공동급식은 여성농업인의 식사준비 부담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공동체 문화가 활성화 되는 긍정적 성과가 있으니 지방농정공약에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육시설 확충
농촌 아이 맡길 곳 태부족
공동육아시설 설치 모색을

▲보육시설 확충=농번기와 함께 시작되는 고민은 또 있다. 학교에 갈 나이가 안된 어린아이의 경우 부모가 농사일을 할 때 어디에 맡길 것인가다. 가까운 거리에 보육시설이 있다면 가장 좋지만 농촌의 경우 도보이동이 가능한 인근에서 보육시설을 찾기란 쉽지 않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보육시설이 없는 시군지역이 430여개에 달한다는 수치가 이를 보여준다.

이 때문에 농식품부에서도 마을회관 등을 이용한 농어촌 공동아이돌봄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사업 추진 주체가 부족하고 기존 어린이집 등 지역 이해논리와 겹치며 사업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런 와중에 여성가족부가 실시한 사업정책공모에서는 농어촌지역에 공동으로 육아를 해결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채택됐다. 이는 농어촌 보육문제 해소를 위해 내놓은 정책이 현장에 파급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 셈이다. 이같은 문제로 보육정책 역시 지역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한 여성농업인단체 관계자는 “예산과 실적을 중요시하는 중앙정부 정책의 경우 지역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거나 이해논리 등으로 현장에 확산되는데 어려움이 있다”며 “보육시설 확충을 여성농업인을 위한 농정공약으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사는 “농업·농촌을 살리는 길은 결국 이를 이끌어갈 후대세대를 어떻게 양성하느냐에 달려있다"며 "보육 및 교육 제도를 포함해 젊은 세대가 농촌에 살만한 여건을 조성해주는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강효정 기자 kanghj@agrinet.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