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동 절반 이상 담당하고 가사노동도 도맡지만
소득분배 비율 낮고 농지 등 자산 소유 등에서 소외
농가도우미나 마을공동급식 등 인지도 낮아 개선 시급


영농활동에 여성농업인이 미치는 기여도는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따른 보상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작업 및 가사노동에 느끼는 부담이 여전히 크고, 본인명의의 농지를 소유하거나 농가소득을 분배하는 등 여성농업인 스스로의 권리를 찾기도 힘들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5년 만에 실시한 2013년 여성농업인 실태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조사는 2008년에 비해 표본수를 두 배로 늘려 총 3031명을 조사했으며 65세 미만 일반 여성농업인과 65세 이상 고령농, 다문화여성으로 나눠 조사했다.

▲과도한 노동·가사부담=농사일과 가사에서 여성농업인의 비중이 높았다. 특히 영농활동의 경우, 농사일을 얼마나 담당하냐는 물음에 전체 응답자의 66.2%가 절반 이상이라고 답했다. 2008년 43.6%보다 무려 22.6%나 높아진 것이다. 농업종사자 중 여성농업인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여성농업인의 역할이 커진 것과 비례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가사노동에서는 여성농업인의 82.8%가 75% 이상 담당한다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30대에서는 75.7%였지만 60대는 88.1%로 조사됐고 부부가 생활할 경우 87%, 조부모와 동거할 경우 53.7%로 나타났다. 연령이 낮고 동거가족 수가 많을수록 여성농업인이 가사노동을 담당하는 비율이 다소 낮아졌다.

이처럼 과중한 노동부담은 가장 빨리 해결해야할 과제로 이어졌다. 농업활동과 농촌생활의 어려움 중 시급한 과제로 31.3%가 과중한 노동부담 경감을 꼽았다.

▲미미한 보상=농사일과 집안일에 여성농업인이 느끼는 부담과 고충은 컸지만 이에 따른 보상은 적었다. 노동활동의 보상이라 볼 수 있는 소득을 분배하는 비율이 극히 적었으며, 본인 명의의 농지를 갖거나 자산을 보유한 비율도 낮았다.

여성농업인 본인 명의로 농지가 있는 비율은 27.4%에 그쳤다. 농업에 참여하면서도 본인 명의의 농지가 없다는 응답이 일반농에서는 78.9%, 고령농은 62%, 다문화는 98.1%로 조사됐다. 연령이 높을수록 농지소유 비율과 평균 소유면적이 높아졌다.

농가의 소득을 분배하는 비율도 낮았다. 농업활동에 참여하면서도 전체 응답자 중 96.1%가 농업소득을 따로 분리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소득을 분배하는 비율은 3.9%로, 30대 이하 7.7%, 40대 4.7%로 연령이 낮을수록 분배하는 비율이 높았다. 품목별로는 축산농가의 분배비율이 12.8%로 높았다.

이같은 조사결과는 여성농업인의 낮은 직업의식으로 이어졌다. 농가소득에 50% 이상 기여했다는 비율이 70.6%로 조사됐음에도 본인의 직업적 지위를 공동경영주나 경영주로 인식하는 비율이 42%에 그친 것이다. 2008년 조사결과 38.6%보다는 상승한 것이지만 늘어나는 여성농업인의 역할과 중요성에 비한다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낮은 정책체감률=65세 미만 여성농업인의 74.5%는 앞으로도 농업을 지속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지속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농업을 계속해야 하고 다른 대안이 없다는 의견이 59.7%로 조사됐다.

일한만큼 성과가 있거나(15.7%), 농촌생활이 좋다(9%)는 긍정적인 의견도 높았다. 특히 30대 이하에서 농촌생활이 좋다는 응답이 15.5%로 전체평균 9%보다 크게 높았으며, 40대에서는 일한 만큼 성과가 있다는 응답이 21.5%로 평균 15.7%를 크게 웃돌았다. 이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농업인이 농업에 계속 종사할 수 있게 만드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다.

그러나 현장의 정책체감률은 아주 낮았다. 출산농가를 위한 농가도우미제도나 농번기 마을공동급식, 가족경영협약제도 등 각 정책별 인지율이 30%에도 미치지 못했다.

특히 여성농업인정책을 어느 하나도 알지 못한다는 답변이 32.5%에 달했다. 더욱이 여성농업인 정책이나 사업을 알고 있더라도 직접 이용하거나 참여한 정도는 0.4~4.6%에 불과했다. 정책 인지도가 낮으니 참여율이 낮고, 참여율이 낮으니 여성농업인의 정책체감률이 낮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여성농업인 정책 홍보 및 현장에 맞는 정책 발굴이 과제로 남았다.

▲다문화에 집중된 교육, 개선점은=여성농업인의 92%는 교육을 받고 싶다고 응답했다. 필요한 교육으로 취미·여가·교양(24.4%), 농업생산기술(15.4), 농산물가공기술(10.6%) 등을 꼽았다.

그럼에도 실제 교육에 참가하는 비율은 턱없이 낮았다. 최근 3년간 교육 참가여부를 묻는 질문에 65세미만 일반여성농업인은 35.7%, 65세 이상 고령농은 8.1%가 참가했다고 답했지만 다문화에서는 90.2%가 답했다. 따라서 일반여성농업인 및 고령농 대상 교육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해석된다.

교육참여 확대를 위해서는 가까운 곳에서 실시돼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30.7%), 이어 농사나 가사일을 대신할 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25.4%)과 농한기에 교육을 실시하라는 의견(16.9%)이 뒤를 이었다.

강효정 기자 kangh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