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지난 8일 도정회의실에서 개최한 ‘학교급식지원센터 설치모형 제시를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학교급식지원센터가 효율성을 겸비하면서도 로컬푸드 등의 가치를 보다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몇 개의 시군을 하나로 묶은 거점형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제안이다.

경남도는 지난 8일 도정회의실에서 임채호 행정부지사 주재로 ‘학교급식지원센터 설치모형 제시를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이날 권용덕 경남발전연구원 박사는 ‘바람직한 학교급식지원센터 설치 모형연구’ 결과를 설명하며 이같이 거점형 센터 설치를 피력했다. 경남발전연구원의 설문조사 결과 생산자, 유통업체, 영양사·조리사, 학부모, 지자체 담당자 중 86%가 학교급식지원센터 설치에 공감했다. 센터의 역할에 대해선 관리감독, 식재료 물류센터, 안전성 검사, 배송까지 총괄적인 기능을 수행해주길 바라는 응답자가 58%나 됐다. 설치범위는 시군형 설치모형이 신선한 식재료 공급이 용이하고 지역 특성을 고려한 급식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가장 이상적이나, 지역별 편차가 크고 군 지역의 경우 시장규모가 영세해 수익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점이 뼈저린 현실적 문제로 지적됐다.

도내 1개소를 설치하는 광역형 모형도 직거래 품목의 다양화와 대량구매로 인한 단가절감의 이점은 있지만, 배송거리와 대규모 급식사고 위험 등으로 적절치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경남발전연구원은 급식규모, 로컬푸드, 배송거리, 기존시설활용 등을 고려할 때 거점형 설치모델이 가장 바람직한 모형이라고 밝혔다.

이날 경남도 학교급식지원심의위원들은 시군단위 학교급식지원센터 설치 및 운용의 문제점에 공감하며 거점형으로 가야 한다는 방향에 대해서는 대부분 동의를 표했다. 그러나 현행 학교급식법에는 시군단위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치토록 돼 있고, 이미 일부 시군에선 자체 센터 설치작업을 진척시켜가고 있음을 주지시켰다.

이에 일선 시군과 교육청 등 보다 폭넓은 참여 속에 체계적인 논의와 사회적 합의가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정재민 경남도 농수산해양국장은 “막대한 신규재정 투입이 아니라, 기존 시설 및 조직 활용이 중요하다”면서 “동부권은 김해시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등에 자체준비가 무르익어 일부시설만 보강하면 성공적 시범사업은 물론, 대도시 급식시장 공략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