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으로 상담센터 통합됐지만 실습 교육 등은 지역별 분산…도시 거주 희망자 불편

거점별 귀농귀촌 교육 종합지원센터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돼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시작과 전원생활 등 다양한 삶을 추구하는 성향이 높아지면서 2011년 귀농귀촌 가구수가 전년보다 158% 증가한 1만503가구, 2만3415명으로 크게 증가하자 농식품부와 지자체들은 각종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농식품부는 지난 2월 귀농·귀촌 2만호 유치를 위한 6개 핵심지원책을 제시했다. 귀농·귀촌희망자들이 필요로 하는 관련 정보를 한자리에서 해결하는 원스톱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귀농·귀촌 종합센터’를 설치한다는 것이 핵심이었다. 이를 통해 귀농·귀촌 관련 자료를 통합·연계하는 포털 사이트를 확대, 개편하고 지자체별 지원센터를 일원화한다는 것이다. 전문가 상담기능 확충을 위해 중앙단위 종합센터를 농촌진흥청에 설치하고 지역에도 시·군별 특성에 맞는 상담센터를 설치해 방문상담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었다.

이에 농식품부는 지난 3월에 그동안 한국농어촌공사, 농협 등이 분산 운영해오던 귀농·귀촌 전문상담센터를 통합해 농진청에 ‘귀농귀촌종합센터’를 설치, 귀농·귀촌인이 한 곳에서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귀농귀촌 교육의 주요 정책 수립은 농식품부에서 주관하면서, 교육은 농진청, 농정원, 지자체로 나뉘어 실시되고 있어 상담센터만 통합이 됐을 뿐 교육은 여전히 분산돼 있는 상황이다.

특히 귀농귀촌종합센터를 운영하는 농진청에서는 정책, 농지, 자금에 대한 전문상담과 영농기술, 현장실습교육 알선만을 하고 있어 도시에 거주하는 귀농 희망자들은 상담과 교육을 한 곳에서 받지 못하는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귀농귀촌 실습의 경우 고추·오이·토마토는 경북 경주에서, 배는 대전에서, 한우는 충북 옥천 또는 경북 영주 등으로 품목별 전국 민간기관에 위탁 운영되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귀농귀촌 총 교육 가능 인원은 2400명에 불과하나 매년 약 5000명이 지원하고 있어 교육시설 또한 턱없이 부족하다.

따라서 상담·교육 따로인 현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역 거점별 귀농귀촌 교육 종합센터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정감사에서 이같은 문제점을 제기한 장윤석 새누리당(경북 영주)의원은 “귀농·귀촌인은 미래 농촌지역의 희망인데 이들에게 직접 교육을 받으러 가라는 식이 아니고 지리적으로 편한 곳에 교육시설을 잘 만들어 놓고, 언제든지 교육을 받으라는 인식을 심어줘야 귀농·귀촌인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며 “거점별 귀농귀촌 교육 종합센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문기jungmk@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