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 농업·농촌발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의존지향형 복지보다는 사업화를 통한 자립지향 정책 마련 등 한국형 다문화사회 모델 개발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또 다양한 문화배경을 지닌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지역여성농업인 CEO 등과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취업지원을 위한 연구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의견은 농촌진흥청이 발간하는 인테러뱅 ‘농촌다문화, 공존의 시대’ 자료에서 제기됐다.

이 자료에 따르면 그동안 우리나라는 대내외적으로 단일 민족국가를 표방해 왔으나 최근 개방과 교류 확대, 결혼이민, 외국 노동력 유입 등으로 점차적으로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농촌의 경우 1990년대부터 지자체를 중심으로 농촌총각장가보내기운동이 적극적으로 추진되면서 다문화가 시작됐다. 그 결과 현재 농어촌의 결혼이민 여성은 약 12만명으로 추산될 정도로 증가해 결혼이민 여성과 자녀들의 역할이 다양해 지고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자녀 2명 출산시 2020년에는 19세미만 농촌인구의 절반이 다문화 2세대로 구성될 것이라는 조사결과가 이를 입증한다.

이같은 다문화가 농촌에 미칠 긍정적인 부분은  △고령화를 지연하고 출산율을 높여 농촌공동체 기반 유지 △음식, 축제 등 농촌의 세계화를 촉진하는 촉매제 △새로운 작목 재배에 따른 농가소득 향상 동력원 등이다. 반면 농촌다문화 가족의 소득이 같은 지역의 국내 농가보다 낮아 이민여성의 적응의욕을 떨어뜨려 빈곤의 대물림이 될 우려가 있고 인종차별과 혼혈가족에 대한 사회적 차별이 발생하거나 어려운 현실에 결혼이민여성이 적응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등 해결할 과제들도 많은 상황이다.

따라서 차별화된 사업과 지역별 우수사례를 발굴, 육성해 귀감이 될 만한 상징적 모델을 만드는 등 한국형 다문화사회 모델 개발이 요구된다. 실제 일부 지역에서 시작되고 있는 다문화테마 산업화 모델들은 중앙정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정책사업화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다양한 문화배경을 지닌 여성결혼이민자의 잠재력을 개발할 역량 모델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지자체별 특성화 사업개발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지역여성농업인 CEO 등과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취업지원,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 및 기반조성 서비스 등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여기에 다문화가족의 정착에 반드시 필요한 또래관계 형성, 언어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농촌특화형 공동육아시설 지원 등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적됐다.
정문기jungmk@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